목차
□ 머리말
□ 차 례
1.漁父辭 (屈原) -- 7
2. 諫逐客書 (李斯) -- 9
3. 弔屈原賦 (賈誼) -- 14
4. 報任少卿書 (司馬遷) -- 17
5. 座右銘 (崔瑗) -- 30
6. 歸田賦 (張衡) -- 31
7. 出師表 (諸葛亮) -- 33
8. 酒德頌 (劉伶) -- 38
9. 陳情表 (李密) -- 40
10. 蘭亭集序 (王羲之) -- 44
11. 歸去來辭(並序) (陶淵明) -- 47
12. 桃花源記 (陶淵明) -- 52
13. 五柳先生傳 (陶淵明) -- 55
14. 北山移文 (孔稚珪) -- 57
15. 滕王閣詩序(詩) (王勃) -- 63
16. 春夜宴桃李園序 (李白) -- 71
17. 吊古戰場文 (李華) -- 73
18. 雜說 (韓愈) -- 79
19. 伯夷頌 (韓愈) -- 81
20. 原人 (韓愈) -- 84
21. 師說 (韓愈) -- 86
22. 進學解 (韓愈) -- 90
23. 祭十二郞文 (韓愈) -- 97
24. 始得西山宴遊記 (柳宗元) -- 105
25. 捕蛇者說 (柳宗元) -- 108
26. 論語辨 (柳宗元) -- 112
27. 種樹郭橐駝傳 (柳宗元) -- 114
28. 陋室銘 (劉禹錫) -- 118
29. 與元微之書 (白居易) -- 120
30. 阿房宮賦 (杜牧) -- 125
31. 岳陽樓記 (范仲淹) -- 130
32. 秋聲賦 (歐陽修) -- 134
33. 愛蓮說 (周敦頤) -- 138
34. 獨樂園記 (司馬光) -- 140
35. 答司馬諫議書 (王安石) -- 142
36. 前赤壁賦 (蘇軾) -- 145
37. 黃州快哉亭記 (蘇轍) -- 149
38. 視箴 (程頤) -- 153
39. 動箴 (程頤) -- 154
40. 西銘 (張載) -- 155
41. 報劉一丈書 (宗臣) -- 158
42. 先妣事略 (歸有光) -- 162
43. 左忠毅公軼事 (方苞) -- 167
44. 登泰山記 (姚鼐) -- 171
□ 참고 : 작가에 대하여
□ 차 례
1.漁父辭 (屈原) -- 7
2. 諫逐客書 (李斯) -- 9
3. 弔屈原賦 (賈誼) -- 14
4. 報任少卿書 (司馬遷) -- 17
5. 座右銘 (崔瑗) -- 30
6. 歸田賦 (張衡) -- 31
7. 出師表 (諸葛亮) -- 33
8. 酒德頌 (劉伶) -- 38
9. 陳情表 (李密) -- 40
10. 蘭亭集序 (王羲之) -- 44
11. 歸去來辭(並序) (陶淵明) -- 47
12. 桃花源記 (陶淵明) -- 52
13. 五柳先生傳 (陶淵明) -- 55
14. 北山移文 (孔稚珪) -- 57
15. 滕王閣詩序(詩) (王勃) -- 63
16. 春夜宴桃李園序 (李白) -- 71
17. 吊古戰場文 (李華) -- 73
18. 雜說 (韓愈) -- 79
19. 伯夷頌 (韓愈) -- 81
20. 原人 (韓愈) -- 84
21. 師說 (韓愈) -- 86
22. 進學解 (韓愈) -- 90
23. 祭十二郞文 (韓愈) -- 97
24. 始得西山宴遊記 (柳宗元) -- 105
25. 捕蛇者說 (柳宗元) -- 108
26. 論語辨 (柳宗元) -- 112
27. 種樹郭橐駝傳 (柳宗元) -- 114
28. 陋室銘 (劉禹錫) -- 118
29. 與元微之書 (白居易) -- 120
30. 阿房宮賦 (杜牧) -- 125
31. 岳陽樓記 (范仲淹) -- 130
32. 秋聲賦 (歐陽修) -- 134
33. 愛蓮說 (周敦頤) -- 138
34. 獨樂園記 (司馬光) -- 140
35. 答司馬諫議書 (王安石) -- 142
36. 前赤壁賦 (蘇軾) -- 145
37. 黃州快哉亭記 (蘇轍) -- 149
38. 視箴 (程頤) -- 153
39. 動箴 (程頤) -- 154
40. 西銘 (張載) -- 155
41. 報劉一丈書 (宗臣) -- 158
42. 先妣事略 (歸有光) -- 162
43. 左忠毅公軼事 (方苞) -- 167
44. 登泰山記 (姚鼐) -- 171
□ 참고 : 작가에 대하여
도서 정보
이 책은 특별히 중국어를 전공으로 하는 중문과 학생들이나, 또는 ‘고급’ 중국어에 대한 지적 욕구가 높은 학습자들을 위해 한어병음자모를 병기하여 학습의 편리를 도모한 교재이다. 중국산문에 대한 이해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고급 중국어 실력을 더 향상시키고자 하는 학습자들을 고려했다는 말이다.
공부를 하는 방법은 다양하고, 또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본 교재로 공부를 하게 될 경우, 중국 산문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으면서 공부를 해도 좋겠지만, 또 문장을 중국어 자체로 인식한 기반 위에서 중국 원음으로 읽고 이해를 해간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렇게 하다보면 한자발음만으로 공부하던 것과는 달리 의외의 재미를 발견하게 될 것이요, 나아가서는 중국 산문의 또 다른 매력을 느낄 수가 있게 될 것이다.
공부를 하는 방법은 다양하고, 또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본 교재로 공부를 하게 될 경우, 중국 산문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으면서 공부를 해도 좋겠지만, 또 문장을 중국어 자체로 인식한 기반 위에서 중국 원음으로 읽고 이해를 해간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렇게 하다보면 한자발음만으로 공부하던 것과는 달리 의외의 재미를 발견하게 될 것이요, 나아가서는 중국 산문의 또 다른 매력을 느낄 수가 있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