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왕대별 사료
명종대(明宗代) 사료 ‧ 11 신종대(神宗代) 사료 ‧ 21
희종대(熙宗代) 사료 ‧ 29 강종대(康宗代) 사료 ‧ 35
고종대(高宗代) 사료 ‧ 39
❚비명
조계산수선사불일보조국사비명(曹溪山修禪社佛日普照國師碑銘) ‧ 47
월남사지진각국사비명(月南寺址眞覺國師碑銘) ‧ 63
와룡산자운사왕사증시진명국사비명(臥龍山慈雲寺王師贈諡眞明國師碑銘) ‧ 79
보경사원진국사비명(寶鏡寺圓眞國師碑銘) ‧ 89
만덕산백련사원묘국사비명(萬德山白蓮社圓妙國師碑銘) ‧ 103
❚저작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 121
선문염송‧염송설화(禪門拈頌‧拈頌說話) ‧ 157
월등사죽루죽기(月燈寺竹樓竹記) ‧ 165
유사불산기(遊四佛山記) ‧ 171
답운대아감민호서(答芸臺亞監閔昊書) ‧ 187
남유록(南遊錄) ‧ 217
참고문헌 ‧ 229
찾아보기 ‧ 231
명종대(明宗代) 사료 ‧ 11 신종대(神宗代) 사료 ‧ 21
희종대(熙宗代) 사료 ‧ 29 강종대(康宗代) 사료 ‧ 35
고종대(高宗代) 사료 ‧ 39
❚비명
조계산수선사불일보조국사비명(曹溪山修禪社佛日普照國師碑銘) ‧ 47
월남사지진각국사비명(月南寺址眞覺國師碑銘) ‧ 63
와룡산자운사왕사증시진명국사비명(臥龍山慈雲寺王師贈諡眞明國師碑銘) ‧ 79
보경사원진국사비명(寶鏡寺圓眞國師碑銘) ‧ 89
만덕산백련사원묘국사비명(萬德山白蓮社圓妙國師碑銘) ‧ 103
❚저작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 121
선문염송‧염송설화(禪門拈頌‧拈頌說話) ‧ 157
월등사죽루죽기(月燈寺竹樓竹記) ‧ 165
유사불산기(遊四佛山記) ‧ 171
답운대아감민호서(答芸臺亞監閔昊書) ‧ 187
남유록(南遊錄) ‧ 217
참고문헌 ‧ 229
찾아보기 ‧ 231
도서 정보
이 자료집은 고려 무신집권기(1170∼1270)의 사료(史料) 가운데 당시의 불교계와 선(禪)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문헌 자료를 선별하여 엮은 것이다. 무신집권기에 해당되는 시기의 왕대(王代)별 주요 사료와 비문(碑文) 그리고 주요 인물들의 저작 자료를 중심으로 찾아 수록하였다. 무신집권기는 왕권 추락과 외세의 침입 등 정치사회적으로 극심한 혼란기였다. 하지만 한국불교사의 관점에서 보면 수선사를 중심으로 하는 선불교의 철학적 토대가 마련된 때이고, 백련결사 등 천태사상이 본격적으로 정립된 때라는 점에서 주목해야 하는 시기이다. ...... 선을 선종(禪宗)으로 일컬어지는 특정한 집단이나 세력에 한정해서는 안될 것이다. 한국불교사에서 선이라는 용어는 불교라는 용어와 대치해도 좋을 만큼의 비중과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선을 중심으로 고려 무신집권기의 주요 사료를 통해 당시 불교계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견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자료집을 기획한 의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