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잠깐! 비회원구입을 원하시나요?!
  • 부크크의 회원가입은 다른 곳의 비회원 구매보다 간단합니다.

회원가입

정치 속의 담론(談論)을 찾아서

0개

|

후기 0

  • 환불규정 : 다운로드 후에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분야인문사회 > 역사
작가海東 김용수
출판형태전자책
파일형태 PDF
파일크기0.01MB
출판사부크크
ISBN 9791137281929
출판일2022.05.02
총 상품 금액 10,000

저자 소개

金龍洙는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돈키호테, 체육선생의 삶』이라는 논문으로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에서 체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관심 있는 연구 분야는 이 시대의 역사, 철학, 교육에 대한 담론(談論), 교육 분야로는 우리 교육 이대로 좋은가, 우리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우리 교육, 대안은 없는가 등이며, 스포츠 분야로는 스포츠와 사회문화, 스포츠 하는 인간과 삶, 인간의 삶과 스포츠, 스포츠 윤리와 범죄, 노인 복지, 노인 복지와 체육·스포츠, 노인 복지와 건강, 학교체육이 나아갈 길, 중국 무술사, 그리고 세상사는 이야기, 생애의 발자취, 삶의 이야기를 통한 자서전, 준비 없이는 꿈꾸는 노년은 없다, 준비하면 행복한 노년을 맞을 수 있다 등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질적연구로 구술사와 구술생애사를 통하여 새로운 역사 쓰기를 시도하고 있다.

논문은 한국교원총연합회, 강원도교원총연합회, 대한체육회 등 현장교육연구 논문 35편 입상,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사학회, 한국체육정책학회, 한국체육철학회, 한국스포츠인류학회, 강원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 한국구술사학회 등에 논문 43편을 등재했다.

주요 저서는 중학체육, 핵심 중학체육, 간추린 중학체육, 중학 체육평가 문제집, 고등학교 체육, 핵심 고교체육, 간추린 고교체육, 고교 체육평가 문제집, 학교 경영 비전, 성공과 축복의 2018평창동계올림픽 가는 길, 학교 체육의 공헌(貢獻)과 과실(過失), 그리고 나아갈 길, 돈키호테, 체육 선생의 삶,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세계,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경기,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문화, 사이클의 역사, 구술사, 중국무술(中國武術), 중국무술사, 그리스·로마 시대의 운동 경기, 생각하고 실천하는 삶과 논리, 논술의 길 찾기, 논술의 산과 길, 사유(思惟)하는 삶, 자녀 교육보감(敎育寶鑑), 전인교육(全人敎育) 길잡이, 그리스·로마 시대의 운동 경기, 스포츠 그리고 게임, 하계올림픽 경기, 올림픽 영웅들의 이야기, 건강한 삶 속으로, 태권도(跆拳道), 스포츠 윤리와 범죄, 체육·스포츠 용어의 윤리적 담론(談論), 스포츠인류학의 이론과 실제, 학교 밖 청소년의 이해와 대안, 학교폭력 대안은 없는가, 고령화 사회와 체육, 스포츠와 인간의 삶, 인간의 삶과 스포츠, 우리 교육, 이대로 좋은가, 우리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이 시대의 담론(談論), 인류 사회·문화와 삶,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1,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2, 과거의 삶을 찾아서, 미래의 삶을 만나다, 스포츠의 사회문화적 삶, 학교체육과 스포츠, 체육(體育)과 사랑방(舍廊房)스포츠 이야기,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며, 학교체육에서 생활스포츠로 나아가는 길을 찾다,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1,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2,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3, 사이클의 발자취를 찾아서,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4,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5, 자녀의 전인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 고령화 사회와 건강, 학교체육이 나아갈 길, 스포츠를 통한 전인적인 삶을 위해, 고령화 사회와 복지, 고령화 사회와 문화, 노인복지의 안과 밖, 갈팡질팡 세상 이야기, 종횡무진 세상 이야기, 흐르는 물처럼 살자, 생애의 발자취, 준비없이는 꿈꾸는 노년은 없다, 준비하면 행복한 노년을 맞을 수 있다, 생애의 발자취, 나의 삶과 스포츠 인류학적 이야기 등 저서 및 번역서 110편이 있다.

현재 한국스포츠사랑연구소장으로 스포츠 칼럼리스트, 국기원 태권도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중등학교 교감, 중·고등학교 교장으로 35년 동안 학교 현장에서 근무했으며, 한국체육사학회부회장, 한국스포츠인류학회부회장, 강원체육사랑연구소장, 강원구술사학회부회장, 강원우슈협회부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번역자 소개 (번역서인 경우 입력해주세요.)

목차

차례


Ⅰ. 들어가는 글/11

1. 국론을 결집하고 플랜 B를 모색하라 13
2. 인류 최초로 구조적 성차별을 철폐한 나라, 구조적 차별을 부정한다면 16
3. 최악 대선의 역사적 의미 18
4. 윤석열과 이명박 그리고 민주당 20
5. 율곡 이이에 비친 개혁의 궤적 22
6. 이재명․윤석열 후보의 같음과 다름 24
7. 홍익정신을 찾아 정체성과 주체성 회복해야 28
8. 돌아온 보수紙-문재인의 訪中 보도를 보고 32
9. 사드 배치 선거공약은 철회되어야 한다 36
10. 시민적 공화주의를 위하여 38
11. 정치적 언어가 사라진 극단의 시대 42
12. 메르켈이 있었다면 44
13. 다시 꿈의 노예가 되자 46
14. 다만세 100년, 만세 시민이 쏘아올리고 촛불시민이 되살린 공화주의 48
15. 다만세 100년, 대립 개념 오해 받지만 민주 옆엔 공화가 단짝이었죠 54
16. 공화주의는 더 많은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하나 59
17. 마키아벨리 정치 이론과 공화주의의 특성 63
18. 로크와 우리 사회 66
19. 祖國이 마키아벨리를 부른다 69
20. 소위 민주시민교육법안들이 폐기되어야 하는 이유 71
21. 국감장의 소품들 74
22. 독선과 위선의 시대, 민주주의의 힘 타협에서 나와 76
23. 진인(塵人) 조은산이 시무 7조를 주청하는 상소문 77
24. 진보의 위기 보수의 자격 91
25. 불평등에 분노하는 밀레니얼, 사회주의에 열광하다 104
26. 프럼프 자제시킨 문대통령 108
27. 박근혜 손에 든 비장의 카드 세장 146
28. 코로나와 우크라이나 153
29. 북한인권법 처리 여야 합의에 대한 표명 기자 회견 157
30. 종교와 정치의 분리-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 이야기 159
31. 4차 산업혁명 주도할 한국판 뉴딜 168
32. 프리드먼, 단점 많은 中보다 日 세력화가 더 위협적 170
33. 블링컨 美 동맹과 함께 中 맞서야 vs 맥팔랜드 성공항 한·일 공정한 몫내기 172
34. 똘마니와 위기의 민주주의 174
35. 이제는 정리해야 할 때 176
36. 징벌을 더 하는 방식으로 민주주의를 강화할 수 없다 178
37. 대통령의 양념 발언 180 38. 기재 공화국 183
39. 책임윤리와 균형감각, 정치적 리더십의 방향 185
40. 유권자의 후원금이 만드는 투명한 정치 189
41. 시민이 이기는 선거 191
42. 문호 열어젖힌 국민의 힘, 시민 여론 경선 범야 후보 단일화 전략 193
43. 올 것이 왔다 195
44. 유사 사건의 범람과 정치의 위기 197
45. 물리학의 단열, 세상 속 단절 199
46. 중대재해법과 비통한 자들의 정치 201
47. 실개천과 적대적 공생 203 48. 애정남의 결단이 보고 싶다 205
49. 검찰개혁 시즌 2 성공하려면 207
50. 1861년 링컨, 2012년 바이든 209
51. 취임식의 주인공들 211
52. 여성 의식 할당제, 남성의 얼굴을 한 정치를 뒤집다 213
53. 샤를리 에브도의 도발 215
54. 미나리와 애틀랜타 총격-미국서 이주자로 산다는 것 217
55. 사랑인가 시스템인가 222
56. 정책정당 지원법이 필요하다 225
57. 봄의 정치 227
58. 읍소 선거 229
59. 그래도 해야지 선거 231
60. 박용진․김세연, 시대도 정치도 830 세대를 원한다 233
61. 바이든의 루스벨트 되기 243
62. 우리와 같은 사람들 245 63. 민주당과 이재명이 최순실 사태에서 얻어야 할 교훈 247
64. 한국정치, 부의 수단으로 전락 252
65. 이재명은 이재명을 넘어야 한다 254
66. 시민의 신뢰 좀먹는 정치 256
67. 이번 대선은 망했다. 결선 투표제라도 도입하자 258
68. 인프라법과 바이든식 정치 260
69. 대통령의 능력 262
70. 신지혜와 윤석열, 그 환상의 콜라보 264
71. 적은 문 앞까지 왔건만 266
72. 보수의 활로 디즈레일리에서 새 길을 찾자 268 73. 고교생 당원, 맞을 준비돼 있나요 292
74. 잘못 부인하는 과오를 넘어 294
75. 도시 국가 아테네 민주 정치 296
76. 분열의 시대, 통합의 정치 298
77. 언택트 설 민심 300
78. 평등 없이 자유 없고 자유 없이 평등 없다 302
79. 한국을 배우자 험한 정서 바꿔나가는 K-방역의 힘 306
80. 선거 후의 날들 316
81. 촛불의 소환 318 82. 정치와 예술의 딜레마 319
83. 종전선언은 판문점 선언대로 군축부터 협상하라 321
84. 민주주의는 몫 없는 이들의 몫이다 323
85. 원조들이 말한 기본소득 327
86. 업, 변증법, 지주반정 329
87. 진정성이 장르를 통합한다 331
88. 고향의 봄은 누가 만드는가? 333
89. 국민과 윤석열, 그리고 디지털 335
90. 대선 이후가 더 걱정이다 338
91. 노사갈등, 대선 이후가 더 걱정이다 342 92. 두려움의 군주 넘어 희망의 정치로 344
93. 이제는 정도를 걸어야 할 때 346
94. 민주당의 정치적 지폐, 스스로를 비주류로 유폐하다 348
95. 더불어민주당 회생법 353
96. 윤석열 정권은 좋은 보수가 될 수 있을까 355
97. 민주당, 적대적 공존에서 단독자로 359
98. 대선 이후 전화기 리더십의 과제 363
99. 용산 시대, 큰 그림으로 설득하라 365
100. 황홀경과 점령군, 그리고 반면교사 367 101. 집무실 이전이라는 권력의 좁은 총구 369
102. 차기 정부 노동정책의 암흑기에서 벗어나기 371
103. 다중은 새로운 공동체를 어떻게 건설할 수 있나 373
104. 대통령 국민중심제의 종언 377
105. 을은 어떻게 정책적 주체로 구성될 수 있는가 379
106. 좌표 찍기와 자유주의적 전체주의 383
107. 부동산정책 실패 백서를 내야 한다 385 108. 국민 공감대 기반한 외교안보정책 추진하라 387
109. 쿠오바디스 390
110. 그의 정치 392
111. 윤석열 노(NO)를 허하라 394
112. 우리나라는 우리가 지킨다: 박정희 시대의 부국강병책 396

Ⅱ. 나가는 글/426

참고문헌/429
주석/431

도서 정보

이 책 쓰면서


정치(politics)는 국가권력을 획득·유지·조정·행사하는 기능·과정 및 제도이다. 정치(politics)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를 뜻하는 폴리스(polis)에서 유래되었다. 오늘날 정치를 정의하는 기준은 다소 분분한데, “정치학 대사전”에서는 정치를 ‘권력의 획득과 유지를 둘러싼 항쟁 및 권력을 행사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정치(政治)라는 용어는 국가의 제도와 행정뿐만 아니라 각 민족국가들간의 권력투쟁이나 국가 내에 존재하는 여러 집단에서의 의사결정 등 국제정치와 시민사회 내에서의 정치영역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정치라는 용어를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핵심적 이유는, 모든 집단과 사회에는 그 구성원 전체를 구속하는 통일적 결정을 만들어내는 기능이 존재하기 때문이며,‘정치’또는‘정치적’이라는 용어는 그러한 기능이나 그것에 따르는 다양한 현상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전체 구성원들이 집단이나 사회에서 일정 기간 동안 통일적인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은 누구이어야 하는가 또는 어느 기관이어야 하는가를 명확히 의식하고 있다면 그 집단이나 사회의 정치는 제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치의 제도화가 완성되었을 때 정책결정자나 정책결정기관은 정부나 집행부의 형태로 조직화되는데 집행부는 전체구성원에게 결정 사항의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으며, 구성원 자신들도 집행부의 결정에 복종해야 한다는 의무의식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정책 결정자나 기관은 일반적으로 집단이나 사회에 대하여 정치적 권위를 수립했다고 할 수 있다.
담론(談論)은 일반적으로 말로 하는 언어에서는 한 마디의 말보다 큰 일련의 말들을 가리키고, 글로 쓰는 언어에서는 한 문장보다 큰 일련의 문장들을 가리키는 언어학적 용어이다. 특정한 시점에서 인간의 언어행위를 규제하는 모든 관계를 포괄한다. 세계에 대한 인간의 관계는 언어를 통해 재현되기 때문에 포괄적인 의미의 담론은 인간의 모든 언어행위와 이로 인해 이루어지는 모든 관계를 휩싸서 하나로 묶는다.
담론(談論)에는 언어적 표현으로서의 담론과 언어유희에 함축되어 있는 현실 재현으로서의 담론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전통적 담론이 인간관계의 언어적 표현에 관심을 가지고 진리를 구성하는 언어규칙을 서술하는 과정이다. 즉 언어를 통해 매개되는 진리의 형성과정을 지칭한다. 이런 맥락에서 담론은 개별적 경험사실을 비교, 반성, 추상하여 일반적 진리에 도달하는 합리적인 과정과 절차를 말한다. 반면 포스트모던적(postmodernism) 담론은 진리를 진리로서 가능하게 하는 권력관계, 즉 지식과 권력의 상관관계를 구성하는 언어규칙을 뜻한다.
오늘날 담론(discourse)이라는 용어는 말하기나 글쓰기에서 정격(正格)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전통적 의미와는 그 뜻이 다른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현재 담론은 언어를 통해 표현되는 인간의 모든 관계와 동시에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개념적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지성계의 지각변동을 일으킨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과 더불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 중의 하나이다.
소통 수단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소통의 위기가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오늘날 소통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고 있지만, 소통의 문제는 오히려 더 심각해진다는 사실은 일종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이 소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자가 도움을 받고자 하는 이론은 하버마스의 담론윤리이다.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의 담론윤리는 공론장(公論場)에서 의사결정과 형성을 위해 담론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지켜야 할 보편적 기준이다.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의 전통을 이어 받은 위르겐 하버마스(Jurgen Habermas)는 의사소통의 규범적 전제를 밝힘으로써 의사결정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통의 원칙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소통원칙은 소통과정의 정당화담론에 치중함으로써 현실 상황과 맥락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필자는 하버마스(Jurgen Habermas)가 제시한 소통원칙의 적용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이 규범정당화 원칙으로서 뿐만 아니라 적용가능성을 가진 원칙이 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그러나 적용가능성을 고려한 소통원칙은 당연히 오늘날 의사소통의 조건에 대한 고려를 필요로 한다.
이 책에서는 공론장(公論場)으로 역사·철학·정치·교육 모두 이해관계가 표출될 수 있는 직접민주주의(直接民主主義)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그리고 이런 직접민주주의가 만인의 참여가 가능한 소통의 조건에서 갈등과 충돌을 넘어 심의민주주의(審議民主主義)에 이르기 위해서는 가치와 공감을 함께 고려한 소통원칙이 필요하다.
2022년 5월

海東 김용수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