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김구 나의 소원
1. 민족 국가
2. 정치 이념
3.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머리말
김구 나의 소원
1. 민족 국가
2. 정치 이념
3.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도서 정보
김구 나의 소원 손글씨 필사의 기적
남녀노소를 위한 큰글자 책!
1. 큰글자 16 폰트 크기 도서
2. 초등.중등~어르신 눈 피로감 없는 큰글씨 책
3. 방과 후 손글씨 쓰기 필기책
4. 수능.한국사능력 역사 고취
《나의 소원》
1. 민족국가
2. 정치이념
3.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세 번째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나의 소원》'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편 중...
김구가 주장한 '문화의 힘'이라는 것은 현대 사회에 '소프트 파워(Soft power)' 을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상대방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일종의 매력이다. 즉, 소프트파워는 상대 스스로 하여금 그렇게 행동하고 싶게 만드는 능력이다.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하지, 가장 '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우리의 부력(富力, 경제력)이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 군사력)이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도 큰 행복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백범일지》중에서...
국제 관계에서 '소프트 파워' 자원들은 나라의 문화 양상이나 가치관(민주주의, 인권, 종교, 사회 규범 등), 정치적 목표 등으로 인해 발현되는데, 강제력 등의 물리적인 힘이 아니라 자발적인 행동을 이끌어내는 ‘매력’과 연관되어 있다.
1) 정신적 가치
: 개개인의 사회구성원 정신 속에 학습된 도덕, 사회규범, 윤리, 민주주의 등 가치관.
2) 문화
: 사회구성원들이 실제로 삶 속에서 행동하는 방식.
3) 외교 정책
: 국가 차원에서의 외교 정책.
남녀노소를 위한 큰글자 책!
1. 큰글자 16 폰트 크기 도서
2. 초등.중등~어르신 눈 피로감 없는 큰글씨 책
3. 방과 후 손글씨 쓰기 필기책
4. 수능.한국사능력 역사 고취
《나의 소원》
1. 민족국가
2. 정치이념
3.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세 번째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나의 소원》'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편 중...
김구가 주장한 '문화의 힘'이라는 것은 현대 사회에 '소프트 파워(Soft power)' 을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상대방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일종의 매력이다. 즉, 소프트파워는 상대 스스로 하여금 그렇게 행동하고 싶게 만드는 능력이다.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하지, 가장 '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우리의 부력(富力, 경제력)이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 군사력)이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도 큰 행복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백범일지》중에서...
국제 관계에서 '소프트 파워' 자원들은 나라의 문화 양상이나 가치관(민주주의, 인권, 종교, 사회 규범 등), 정치적 목표 등으로 인해 발현되는데, 강제력 등의 물리적인 힘이 아니라 자발적인 행동을 이끌어내는 ‘매력’과 연관되어 있다.
1) 정신적 가치
: 개개인의 사회구성원 정신 속에 학습된 도덕, 사회규범, 윤리, 민주주의 등 가치관.
2) 문화
: 사회구성원들이 실제로 삶 속에서 행동하는 방식.
3) 외교 정책
: 국가 차원에서의 외교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