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안중근 자서전
1장. 유년시절
2장. 동학당 토벌
3장. 천주교 입교
4장. 의협청년 시절
5장. 대한제국의 혼란기
6장. 을사늑약
7장. 학교 설립, 인재 양성 진력
8장. 의병 활동
9장. 풍찬노숙과 기아극복
10장. 이토 거사 계획
11장. 의거
동양평화론
1. 서문(序文)
2. 1910년 경술 2월(음) 대한국인 안중근 여순(旅順) 옥중에서 쓰다
머리말
안중근 자서전
1장. 유년시절
2장. 동학당 토벌
3장. 천주교 입교
4장. 의협청년 시절
5장. 대한제국의 혼란기
6장. 을사늑약
7장. 학교 설립, 인재 양성 진력
8장. 의병 활동
9장. 풍찬노숙과 기아극복
10장. 이토 거사 계획
11장. 의거
동양평화론
1. 서문(序文)
2. 1910년 경술 2월(음) 대한국인 안중근 여순(旅順) 옥중에서 쓰다
도서 정보
안중근 자서전
남녀노소를 위한 큰글자 책!
1. 큰글자 16 폰트 크기 도서
2. 초등.중등~어르신 눈 피로감 없는 큰글씨 책
3. 방과 후 한글 한자 병행 읽기 활용
4. 수능.한국사능력 역사 고취
《안중근 자서전》
원 제목은 '안응칠(安應七) 역사'로 기록한 옥중 자서전이다. (안응칠은 안중근의 어릴 때의 이름(아명)이다)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安重根) 항일 의사가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한 뒤에 중국 뤼순감옥에 수감되었다.
그 해 12월 13일부터 다음해 1910년 3월 15일까지 기록한 옥중 수기와 같은 자서전으로'안중근 자서전'이다.
안중근(安重根) 항일 의사의 사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토는 한국의 국권을 빼앗고, 동양평화를 파괴한 15조목의 죄인이다.
둘째,
나의 거사는 한국독립전쟁의 일환으로 일본 재판정에 설 의무가 없다.
셋째,
삶은 꿈과 같고 죽음은 영면(永眠)하는 것이다.
넷째,
나의 행동은 오직 진정한 동양평화를 위한 것이었다.
다섯째,
청장년(靑壯年)은 의병으로 투쟁하고, 어린이는 잘 교육시켜 후일에 대비하라 등이다.
《동양 평화론》
논문형식의 논설로 '동양평화론(東洋平和論)'은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 암살 의거 후 1910년 3월 중국의 뤼순 감옥에서 집필한 '서문'과 '전감 1'만 지어졌고 나머지 '현상 2', '복선 3', '문답'은 목차만 제시된 채 미완성의 글이다.
남녀노소를 위한 큰글자 책!
1. 큰글자 16 폰트 크기 도서
2. 초등.중등~어르신 눈 피로감 없는 큰글씨 책
3. 방과 후 한글 한자 병행 읽기 활용
4. 수능.한국사능력 역사 고취
《안중근 자서전》
원 제목은 '안응칠(安應七) 역사'로 기록한 옥중 자서전이다. (안응칠은 안중근의 어릴 때의 이름(아명)이다)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安重根) 항일 의사가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한 뒤에 중국 뤼순감옥에 수감되었다.
그 해 12월 13일부터 다음해 1910년 3월 15일까지 기록한 옥중 수기와 같은 자서전으로'안중근 자서전'이다.
안중근(安重根) 항일 의사의 사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토는 한국의 국권을 빼앗고, 동양평화를 파괴한 15조목의 죄인이다.
둘째,
나의 거사는 한국독립전쟁의 일환으로 일본 재판정에 설 의무가 없다.
셋째,
삶은 꿈과 같고 죽음은 영면(永眠)하는 것이다.
넷째,
나의 행동은 오직 진정한 동양평화를 위한 것이었다.
다섯째,
청장년(靑壯年)은 의병으로 투쟁하고, 어린이는 잘 교육시켜 후일에 대비하라 등이다.
《동양 평화론》
논문형식의 논설로 '동양평화론(東洋平和論)'은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 암살 의거 후 1910년 3월 중국의 뤼순 감옥에서 집필한 '서문'과 '전감 1'만 지어졌고 나머지 '현상 2', '복선 3', '문답'은 목차만 제시된 채 미완성의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