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잠깐! 비회원구입을 원하시나요?!
  • 부크크의 회원가입은 다른 곳의 비회원 구매보다 간단합니다.

회원가입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가는 길

0개

|

후기 0

  • 배송일 : 영업일 기준 2-8일 내로 배송됩니다.
  • 환불규정 : 주문 후 인쇄되므로 배송이 준비된 후에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분야인문사회
작가海東 김용수
출판형태종이책
페이지수 367 Pages
인쇄컬러표지-컬러, 내지-흑백
판형 B5
출판사부크크
ISBN 9791141002220
출판일2022.11.21
총 상품 금액 28,000

저자 소개

金龍洙는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돈키호테, 체육선생의 삶』이라는 논문으로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에서 체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관심 있는 연구 분야는 이 시대의 역사, 철학, 교육에 대한 담론(談論), 교육 분야로는 우리 교육 이대로 좋은가, 우리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우리 교육, 대안은 없는가 등이며, 스포츠 분야로는 스포츠와 사회문화, 스포츠 하는 인간과 삶, 인간의 삶과 스포츠, 스포츠 윤리와 범죄, 노인 복지, 노인 복지와 체육·스포츠, 노인 복지와 건강, 학교체육이 나아갈 길, 중국 무술사, 그리고 세상사는 이야기, 생애의 발자취, 삶의 이야기를 통한 자서전, 준비 없이는 꿈꾸는 노년은 없다, 준비하면 행복한 노년을 맞을 수 있다 등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질적연구로 구술사와 구술생애사를 통하여 새로운 역사 쓰기를 시도하고 있다.

논문은 한국교원총연합회, 강원도교원총연합회, 대한체육회 등 현장교육연구 논문 35편 입상,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사학회, 한국체육정책학회, 한국체육철학회, 한국스포츠인류학회, 강원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 한국구술사학회 등에 논문 43편을 등재했다.

주요 저서는 중학체육, 핵심 중학체육, 간추린 중학체육, 중학 체육평가 문제집, 고등학교 체육, 핵심 고교체육, 간추린 고교체육, 고교 체육평가 문제집, 학교 경영 비전, 성공과 축복의 2018평창동계올림픽 가는 길, 학교 체육의 공헌(貢獻)과 과실(過失), 그리고 나아갈 길, 돈키호테, 체육 선생의 삶,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세계,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경기,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문화, 사이클의 역사, 구술사, 중국무술(中國武術), 중국무술사, 그리스·로마 시대의 운동 경기, 생각하고 실천하는 삶과 논리, 논술의 길 찾기, 논술의 산과 길, 사유(思惟)하는 삶, 자녀 교육보감(敎育寶鑑), 전인교육(全人敎育) 길잡이, 그리스·로마 시대의 운동 경기, 스포츠 그리고 게임, 하계올림픽 경기, 올림픽 영웅들의 이야기, 건강한 삶 속으로, 태권도(跆拳道), 스포츠 윤리와 범죄, 체육·스포츠 용어의 윤리적 담론(談論), 스포츠인류학의 이론과 실제, 학교 밖 청소년의 이해와 대안, 학교폭력 대안은 없는가, 고령화 사회와 체육, 스포츠와 인간의 삶, 인간의 삶과 스포츠, 우리 교육, 이대로 좋은가, 우리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이 시대의 담론(談論), 인류 사회·문화와 삶,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1,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2, 과거의 삶을 찾아서, 미래의 삶을 만나다, 스포츠의 사회문화적 삶, 학교체육과 스포츠, 체육(體育)과 사랑방(舍廊房)스포츠 이야기,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며, 학교체육에서 생활스포츠로 나아가는 길을 찾다,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1,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2,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3, 사이클의 발자취를 찾아서,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4,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5, 자녀의 전인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 고령화 사회와 건강, 학교체육이 나아갈 길, 스포츠를 통한 전인적인 삶을 위해, 고령화 사회와 복지, 고령화 사회와 문화, 노인복지의 안과 밖, 갈팡질팡 세상 이야기, 종횡무진 세상 이야기, 흐르는 물처럼 살자, 생애의 발자취, 준비없이는 꿈꾸는 노년은 없다, 준비하면 행복한 노년을 맞을 수 있다, 생애의 발자취, 나의 삶과 스포츠 인류학적 이야기 등 저서 및 번역서 120편이 있다.

현재 한국스포츠사랑연구소장으로 스포츠 칼럼리스트, 국기원 태권도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중등학교 교감, 중·고등학교 교장으로 35년 동안 학교 현장에서 근무했으며, 한국체육사학회부회장, 한국스포츠인류학회부회장, 강원체육사랑연구소장, 강원구술사학회부회장, 강원우슈협회부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번역자 소개 (번역서인 경우 입력해주세요.)

목차

차례

들어가는 글/9

Ⅰ. 동계올림픽의 이해/15
1. 동계올림픽 역사/15
2. 대한민국과 동계올림픽/19
3. 강원도와 동계올림픽/25
4. 한국의 스키 도입설/29
5. 동계올림픽 준비 현황과 전망/39
6. 소결론/55

Ⅱ.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과정에서의 축복과 재앙에 대한 담론/57
1. 평창올림픽의 지배적 담론/59
2. 언론 보도에서의 주변적 담론/64
3. 지배담론과 주변담론의 중재/71

Ⅲ. 근대 올림픽의 본질과 발전 요인에 대한 재조명/74
1. 올림픽 경기의 역사적 배경/74
2. 근대올림픽의 본질/77
3. 올림픽 경기의 발전 요인/84

Ⅳ.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도시를 살펴보자/94
1. 제21회 캐나다 밴쿠버 동계올림픽(2010년)/95
2. 제20회 이탈리아 토리노 동계올림픽(2006년)/100
3. 제19회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2002년)/104
4. 제18회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1998년)/108
5. 제17회 노르웨이 렐레함메르 동계올림픽(1994년)/110
6. 제16회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올림픽(1992년)/114
7. 제22회 러시아 소치 올림픽(2014년)/116
8. 소결론/119

Ⅴ. 2018 평창동계올림픽 축복과 재앙간 지배담론과 주변담론/123
1. 경기장 분산 개최의 담론 탐색/127
2. 경기장 분산 개최 담론의 승부/132
3. 경기장 분산 개최 주변담론의 패배/139
4. 나가며/145

Ⅵ.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와 남북한 간의 스포츠 외교/148
1. 동계올림픽과 한반도 평화/148
2. 남북한 화해 증진을 위한 평창올림픽의 필요성과 의미/149
3. 평창올림픽이 남북한 화해에 미치는 영향/154
4. 평창올림픽 유치 운동을 북한과 함께/160

Ⅶ.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대비 경기력 향상/163
1. 소치동계올림픽 종목별 평가/165
2. 종합 평가/167
3. 동계올림픽의 경기력과 목표/168
4. 동계올림픽 우수성적 달성을 위한 과제/170
5. ‘운3 기7’ 쇼트트랙의 영광과 재앙/171
6. 김연아를 역사로 만들어야 한다/173
7. 소결론/176

Ⅷ.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사전․사후를 위한 제안들/181
1. ‘경제적 효과’ 기대치 낮고 ‘시설 사후활용’에 우려감 높다/182
2. 강원도민 62.6%, ‘동계올림픽 유치 자부심 느낀다’/185
3. 동계올림픽까지 1년, 도민의 성원 절실할 때이다/188
4. 동계올림픽을 강원도의 가치를 극대화해야 한다/192
5. 스폐셜올림픽을 보면 동계올림픽이 보인다/198
6. 동계올림픽을 창조 관광 기회로 삼아야 한다/200
7. 비인기 종목 기업들의 꾸준한 지원 ‘음지’가 밝아지고 있다/203
8. 국민 여론의 소리에 귀 기울려 보자/208
9. 동계올림픽 유산 창출 기반 구축이 절실하다/211
10. 올림픽지역개발청을 설립해야 한다/216
11. 동계올림픽 활강 가리왕산 대신 만항재서도 가능했다/221
12. 강원, 문화올림픽은 성공할까/227
13. 소결론/231

Ⅸ.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경기장 시설 사후 활용 방안/234
1. 동계올림픽 경기장 시설 사후활용 계획 수립의 중요성/237
2. 동계올림픽 경기장 시설 사후 활용 접근 전략/238
3. 동계올림픽 유산 전승과 경기장 시설 사후 활용/240
4. 동계올림픽 유산 전승으로서 강릉 빙상경기장 마스터플랜/245
5. 소결론/247

Ⅹ.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배후 도시 활용 방안/249
1. 친환경 케이블카 설치/250
2. 관광단지 조성/254
3. 올림픽 레인보우시티를 건설하자/258
4. 특구 한계 극복위해 올림픽 배후도시 필요하다/259
5. 동계올림픽 사후 활용에 대한 논의/262

Ⅺ.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배후 시설 설립 방안/265
1. 올림픽 조직위원회 측의 의견/266
2. 노인 요양시설 설립/271
3. 카지노 리조트 건립/274
4. 의료 관광을 위한 수익 창출/288
5. 소결론 및 제안/290

Ⅻ. 동계올림픽에 따른 스포츠 외교와 국가․지역 발전/292
1. 국가, 지역, 가계에 미치는 기대 효과/292
2. 경제, 정치, 사회, 문화, 환경적 기대 효과/301
3. 경제성 평가 모형을 통한 기대 효과/307
4. 동계올림픽 경제 효과/310
5. 소결론 및 시사점/314

나가는 글/318
참고문헌/325
주석/343

(부록)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도서 정보

들어가는 글



청소년올림픽(Youth Olympic Games)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올림픽으로서 IOC(국제올림픽위원회)가 주관하는 공식 올림픽이다. 4년마다 동계청소년올림픽과 하계청소년올림픽이 번갈아 개최된다. 하계청소년올림픽은 2010년 싱가포르에서 처음으로 개최됐고 2022년 세네갈 수도 다카르에서 4회 대회가 열린다. 동계청소년올림픽은 2012년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에서 처음 개최됐고 2024년 대한민국 평창, 강릉, 정선, 횡성에서 열린다.
최문순 전 강원도지사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뒤를 이어가기 위해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개최 의향표명서를 제출하였다.(주석)




------------------------------------------------------------------------------------------------------------- “South Korea To Bid For 2024 Winter Youth Olympics In Gangwon Province”. 《Gamesbids.com》. 2019년 9월 30일.
이후 2019년 12월 5일. 국제올림픽위원회 집행위원회는 올림픽 개최에 대한 대한체육회의 제안 권고 승인에 따라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하였다. “IOC to study proposal from Korean Sport and Olympic Committee for 4th Winter Youth Olympic Games 2024”. 《Olympic.org》. 2020년 1월 6일.

루마니아 브라쇼브는 2013 유럽 동계 청소년 올림픽 유치와 2020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유치신청을 한 이력을 바탕으로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유치에 대한 가능성을 표명하였으나 입후보에는 하지 않았다. “Conducerea sportului romanesc analizeaza posibila candidatura pentru organizarea Jocurilor Olimpice de Tineret din 2024 in judetul Brasov”. 《Cosr.ro》 (루마니아어). 2018년 10월 3일.

불가리아 소피아는 지난 2018년,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의 불가리아 방문 이후 불가리아 총리인 보이코 보리소프는 올림픽 유치를 추진하였다. “Bulgaria Poised To Bid For The 2024 Winter Youth Olympics”. 《Games Bids》. 2018년 9월 16일.
수도인 소피아는 1992년 동계 올림픽과 1994년 동계 올림픽 개최를 추진하였으나 개최 유치에는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2016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유치에는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요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유치를 하지 못하였다.
아르헨티나 우수아이아는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개최 당시, IOC 위원장인 토마스 바흐는 우수아이아를 방문하여 시설과 산악지형을 보고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개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Sueños y Secreto de los hombres que trajeron los Juegos a la ciudad”. 《Lanacion》 (스페인어). 2018년 10월 1일.
이와 함께 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청소년 올림픽 이후 추가 올림픽 유치를 검토하였으며 안데스 산맥에 있는 파타고니아 지역을 동계 올림픽 개최지역으로 검토를 하였다. 7. “Patagonia put forward as potential Winter Olympic bid by Argentina”. 《insidethegames.biz》. 2015년 11월 19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2020년 1월 10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제135차 IOC 총회에서 단독 후보인 강원도를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개최 도시로 선정했다. 그리고 2021년 12월 10일, 원격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 계획이 발표되었는데, 대부분의 종목과 경기장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유사하게 진행되며 강릉원주대학교와 정선 하이원리조트를 선수촌으로 선정하는 구체적 방향이 발표되었다.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마스터플랜 확정”. 《G1방송》. 2021년 12월 10일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2024 Winter Youth Olympics, IV Winter Youth Olympic Games)은 2024년 1월 19일부터 2월 1일까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에서 개최될 예정인 제4회 동계 청소년 올림픽이다. 이번 대회는 올림픽 어젠다 2020을 따른 대회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당시에 사용되었던 레거시 시설들을 상당수 재활용할 전망이다.
2018년 동계올림픽이 마침내 대한민국 평창에서 열렸다. 1988년 서울 하계올림픽에 이어 30년 만에 두 번째로 세계적인 스포츠 축제인 동계올림픽을 다시 개최하게 되는 계기를 맞았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세계 4대 스포츠 행사로 일컬어지는 월드컵축구대회, 동ㆍ하계올림픽경기대회,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마지막 단추인 동계올림픽경기대회를 통해 명실상부한 스포츠 강국으로서 면모를 갖게 되었다. 성과를 이루게 됨으로써 국민 모두 이에 따른 국가 브랜드 가치를 성장시킬 수 있는 디딤돌이 되기를 염원하고 있다. 이렇듯 “짧은 시간 내에 국제스포츠계에서 눈부신 성과를 이루게 된 것은 소위 ‘스포츠외교’라는 기치아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 기관의 긴밀한 상호 협력이 큰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박성희, 2013: 501).
세 번의 도전 끝에 동계올림픽경기대회 유치에 성공한 평창은, 지구촌 최대의 스포츠 제전인 동계올림픽 준비를 위해 박차를 가했으며, 지방자치단체 및 중앙정부와 힘을 합쳐 역대 최고이면서도 유일한 올림픽경기대회를 만들어 내겠다는 각오였다. 특히 정부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경기대회를 문화ㆍ경제ㆍ환경ㆍ평화 올림픽으로 개최하여 동계올림픽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훌륭한 올림픽 유산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하고 실행했다.
동ㆍ하계올림픽 개최는 지역 경제 발전과 국가 경제적 파급 효과는 물론이며 국가 브랜드를 제고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국민들이 올림픽에 열광하는 목적은 단순히 훌륭한 스포츠 경기대회를 자국에서 관람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기대하는 바가 크다. 바로 올림픽이 가져다 줄 사회ㆍ경제ㆍ문화적 효과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기대치를 바탕으로 국민들은 올림픽 유치가 가져다 줄 경제적 파급 효과와 그것이 우리나라 스포츠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많은 궁금증과 기대를 갖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과연 올림픽 유치가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국가 행사로만 치러질 수 있을까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실제로 많은 올림픽 사후(事後) 연구 결과에서 개최 이후의 명암(明暗)에 대한 분석 자료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76년 몬트리올 하계올림픽대회는 적자가 12억 2천 8백만 달러에 달했는데, 부채는 1백억 달러가 넘어 2006년까지 30년간 특별세를 거둬 빚을 갚아야 했고 몬트리올에 속한 퀘백 자치주까지 큰 타격을 입었다.
2010년 캐나다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는 부동산 개발 회사들이 시유지를 제공해 주는 대가로 선수촌을 만들고 대회 이후 호화 아파트로 개조해 분양하자고 제안했는데, 올림픽 유치를 명분으로 당선된 시장은 올림픽 빌리지 완성을 위해 엄청난 금액을 대출받아 투자하기도 했다. 하지만 금융 위기 이후 건설비용의 급증으로 밴쿠버 시가 책임져야 하는 개발 비용은 10억 달러에 달했고 신용 등급마저 강등되는 참담한 실수를 경험했다(노컷뉴스, 2013년 3월 28일, 박정민). 따라서 동계올림픽은 하계올림픽이나 월드컵축구대회와는 달리 지리적인 특성이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경기장 및 선수촌, 인프라 사업에 막대한 자금의 투자가 수반되어야만 하는(이동훈, 2011)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의 담론과는 달리 대부분의 올림픽 주최 도시가 적자 구조에 직면하여 엄청난 국가적 손실을 초래했다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示唆)하는 바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최근에는 여러 언론 매체와 스포츠 행정 전문가들, 경제 연구자들이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의 발전 방향과 향후 과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 분석들을 쏟아내고 있다. 또한 올림픽 성공적 개최를 위한 다양한 학술 세미나와 포럼, 행사 이벤트들도 줄을 잇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이 올림픽에 대한 발전 방안과 대응 마련을 적절히 설명해 주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 주마간산(走馬看山) 식의 피상적인 연구에 그치는 것이 많았다. 언론도 역시 개최가 막 결정된 2020년도 시기에는 각 언론사에서도 많은 관심과 언론 보도를 쏟아져 나오고 있었지만 차츰 그 관심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GANGWON2024’ 홈페이지를 통하여 동계청소년올림픽에 대해 간단한 정보 전달이나 종목 소개 등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고 심층 취재와 기획 기사를 발굴하는 언론사들의 노력은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원 청소년동계올림픽을 약 1년 가까이 앞둔 시점에서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적극적인 보도와 심층적인 연구는 물론이거니와 올림픽 경기 후 대처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할 때다. 시기적으로 늦은 감은 있지만 동계청소년올림픽이라는 국가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중대 사안을 앞두고 있는 우리에게 상당히 의미 있는 판단을 할 시점에 와 있다.
먼저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은 인천 AG와 2018 평창동계올림픽경기대회를 반면교사로 교훈을 얻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인천 아시아경기대회가 2014년 9월 19을 시작하여 2014년 10월 4일에 폐막했다. 대회 일정으로 따지면 16일에 불과한 열전의 드라마였으나 2005년 대회를 유치한 인천으로서는 장장 9년에 걸친 대역사의 막을 내리게 된 셈이다. 여느 대회나 마찬가지로 이번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역시 뚜렷한 명과 암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경기력 차원에서 비인기 종목의 선전으로 종합 2위 목표를 무난히 달성한 점은 모든 국민이 축하할 일이다. 경기 외적으로도 ‘안전’과 ‘환경’에 있어서 좋은 점수를 줄만했다. 아시아경기대회로는 처음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친환경국제인증을 받음으로써 친환경 스포츠 제전의 모델이 된 점은 의미가 크다. 스포츠 불모국들에 대한 자금 지원으로 스포츠 외교의 지평을 넓힌 점도 평가할 일이다. 인천의 도시 기반과 브랜드가 한 단계 도약하게 된 점도 성과임이 틀림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회 막판 북한 최고위급 인사들의 갑작스러운 방한으로 남북 간 대화의 물꼬가 나름대로 트이게 된 점은 스포츠 축제만이 안겨줄 수 있는 망외(望外)의 기쁜 선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초반부터 대회 조직위원회의 미숙한 운영이 불거지는 등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았다. 특히 인천시 재정 규모를 뛰어넘는 과잉 시설 투자의 부작용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국비 지원분을 제하고 지방채 발행으로 조달한 1조 7,224억 원의 경기장 건설비용에다 도시철도 건설비 등을 얹어 내년부터 한 해 5,400억 원의 원리금을 갚아나가야 한다. ‘적자는 경기장 시설에 국한되어 있다’라고 하지만 인천시의 전체 부채 규모는 1조 2,493억 원이며, 올해 매월 이자만 11억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대회 개최의 경제적 파급 효과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데 비해 당장은 재정 압박이 인천 시민들에게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정부와 인천시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였다.
다음으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경기대회를 살펴보면, 지난 2014년 10월 5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평창을 찾아 크게 우려했 듯 지금 평창올림픽 준비는 동맥경화에 걸려 있다는 얘기가 나올 만큼 지지부진하다. 주경기장은 계속적인 공사 지연으로 공정률이 저조하고, 도로나 숙소 등 기반 시설도 무엇 하나 제대로 준비된 게 없다. 국가적 관심도가 아직 낮은데다 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사정도 있겠으나 강릉과 평창 간 스케이트장 건설 논란 등 소지역주의 갈등도 한몫한 데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대회 준비보다 더 걱정되는 건 대회 이후의 청사진이다. 아무 계획도 없다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평창올림픽이 강원도의 재앙이 되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치권의 관심도 절실하다. ‘식물위원회’ 소리를 듣는 대회 조직위를 전면 개편, 파견공무원 수를 줄이고 민간 전문가를 대거 영입해 올림픽 준비와 대회 이후의 청사진을 다시 짜는 일이 그 첫걸음이어야 한다”(서울신문, 2014년 10월 6일, 31면)고 할 정도였다.
인류 최대의 제전인 올림픽을 개최함으로써 개최국의 모습은 각종의 미디어를 통해 세계 구석구석까지 소개된다. 올림픽을 개최하는 국가는 올림픽 경기 그 자체를 통해서, 또 개막식과 폐막식을 포함하는 각종의 문화행사를 통해서 개최국의 문화를 알리고 이미지를 제고시키는 절호의 기회를 맞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이미 우리는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서 잘 알고 있다. 다가오는 2024년 1월 19일 개회식까지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에 대한 이해와 올림픽 경기 후 대책 방안 마련을 위해 모든 이들이 힘을 합쳐야 할 시기이다.
2024년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의 경기장 시설 역시 단순한 경제 효과 수치가 아닌 비용 대비 편익을 철저히 재분석하여 중앙정부와 강원도 재정에 장기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설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시설의 사후 관리 방향을 고민해 볼 필요성이 있다. 특히 국제스포츠 이벤트 운영 등을 통해 올림픽 이후 경기장 시설과 사후 활성화 방안 및 관리에 도움이 될 구체적인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인천 아시아경기대회와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명암을 1년 앞으로 다가온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의 반면교사로 삼는 지혜가 절실하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이 국내의 스포츠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사회, 경제, 문화 등 전반으로 확산될 것을 감안하여 전략적인 계획을 통해 대내ㆍ외적으로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이해와 및 사후(事後) 대처 방안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설정하였다.
첫째,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전․후 변화되는 상황을 사실적 근거에 입각하여 기술함으로써 차후 메가스포츠 이벤트 유치와 개최에 참고 자료를 제시한다.
둘째, 광역적 1일 혹은 주말 생활권 내에서의 접근성 및 동계올림픽 관련 인프라 환경에 대한 국민의 소리를 듣고 이를 분석한다.
셋째, 역대 동계올림픽 중 성공적 시를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한다.
넷째, 앞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이후 경기장 시설 및 배후 도시, 그리고 배후 시설들을 광역적 측면에서 활용 방안을 도출하여 구체적인 활용안을 제안한다.
다섯째, 제안한 활용안에 관한 타당성과 국가․지역 발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폐막 후 강원권과 평창, 강릉, 원주, 횡성 등의 경제적 성장 동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이에 각 단원별 내용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를 참조하여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그 이후의 인프라 운영 성과를 좌우하게 될 관건적 요인이 되는 배후 도시 활용과 배후 시설 설치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사후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