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연구배경 및 목적
- 연구범위 및 방법
제2장 이로적 개념과 분석틀
- 자연재난, 재난관리 개념과 이론적 논의
- 비전통적 안보이슈로서의 자연재난
- 긴급재난대응체계 모델
제3장 아세안 긴급재난대응체계 (2004년 인도양 쓰나미 사례)
- 2004년 인도양 쓰나미 배경
- 2004년 인도양 쓰나미 사태 긴급 재난대응
제4장 아세안 긴급재난대응체계 협력: 군사적 지원협력을 중심으로
- 아세안의 재난환경
- 아세안의 긴급재난대응체계 메커니즘 고찰
제5장 결론
- 연구배경 및 목적
- 연구범위 및 방법
제2장 이로적 개념과 분석틀
- 자연재난, 재난관리 개념과 이론적 논의
- 비전통적 안보이슈로서의 자연재난
- 긴급재난대응체계 모델
제3장 아세안 긴급재난대응체계 (2004년 인도양 쓰나미 사례)
- 2004년 인도양 쓰나미 배경
- 2004년 인도양 쓰나미 사태 긴급 재난대응
제4장 아세안 긴급재난대응체계 협력: 군사적 지원협력을 중심으로
- 아세안의 재난환경
- 아세안의 긴급재난대응체계 메커니즘 고찰
제5장 결론
도서 정보
역대 한국 정부는 미국, 중국과 크게는 일본, 러시아와의 외교관계에 집중하여 왔다.
그러나 아세안은 전략적, 경제적으로 동아시아의 주요 요충지로 부상되는 지역이자 한국에 있어 제 2의 교역국 및 가입 10개국이 모두 남북한 동시수교국으로서 강한 외교관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아세안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재난구호의 협력 지원을 통하여 미래공동체 구상의 방향을 제안한다.
그러나 아세안은 전략적, 경제적으로 동아시아의 주요 요충지로 부상되는 지역이자 한국에 있어 제 2의 교역국 및 가입 10개국이 모두 남북한 동시수교국으로서 강한 외교관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아세안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재난구호의 협력 지원을 통하여 미래공동체 구상의 방향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