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目次
1.음양오행(陰陽五行)과 천간지지(天干地支)----1
1) 사주팔자(四柱八字)란 무엇인가?
2)천간(天干)
3)지지(地支)
4) 천간과 지지의 음양(陰陽).
5)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
2. 오행(五行)의 상생(相生) 및 상극(相剋)-----8
1) 상생(相生)
2) 상극(相剋)
3)사주(四柱)를 정하는법
3. 합충법 (合沖法)------------------------15
1) 사주궁위 (四柱宮位)
2) 간합(干合) 과 육합(六合), 삼합국(三合局)
3) 합충(合沖) 과 형살(刑殺)
4. 십이운성 (十二運星) ------------------32
1) 십이운성 개요
2) 십이운성을 적용한 사주풀이
5. 십이신살(十二神殺)----------------------41
1) 12신살(十二神殺)이란 무엇인가?
2) 12신살(十二神殺) 도표
3) 12신살과 12운성 적용 사주풀이
6. 육십갑자(六十甲子) 및 공망(空亡)----------55
1) 공망(空亡)
2) 공망과 사주풀이
3) 지장간(支藏干)
7. 십성(十星),육신(六神)육친(六親)----------- 60
1) 육친(六親)
2) 육친 조견표(六親 早見表)
3) 육친(六親) 사주풀이
8. 사주의 신강(身强), 신약(身弱)---------- 74
1) 사주체의 강약 구분론
1) 신강(身强), 신약(身弱) 구분과 사주 분석
9. 궁합(宮合) 보기----------------------96
1) 궁합
2) 궁합에 영향을 주는 신살 정리
3) 남녀 결혼 대길 연령 조견표, 길과 흉의 시기
10. 이사와 생활에 유익한 방위 정리---------102
1) 삼재(三災)
2) 삼살 방위(三煞方位)
3) 대장군 방위(大將軍 方位)
11. 고전(古典)에서 살펴본 행운론(行運論)------------105
1) 대운의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
2) 流年의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
3) 대운과 유년의 길흉 종합
12. 물상천간론(物象天干論) ---------------119
13. 격국 용신론(格局 用神論) --------------145
1) 격국과 용신
2) 용신(用神)이란
※ 參考文獻------------------------265
1.음양오행(陰陽五行)과 천간지지(天干地支)----1
1) 사주팔자(四柱八字)란 무엇인가?
2)천간(天干)
3)지지(地支)
4) 천간과 지지의 음양(陰陽).
5)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
2. 오행(五行)의 상생(相生) 및 상극(相剋)-----8
1) 상생(相生)
2) 상극(相剋)
3)사주(四柱)를 정하는법
3. 합충법 (合沖法)------------------------15
1) 사주궁위 (四柱宮位)
2) 간합(干合) 과 육합(六合), 삼합국(三合局)
3) 합충(合沖) 과 형살(刑殺)
4. 십이운성 (十二運星) ------------------32
1) 십이운성 개요
2) 십이운성을 적용한 사주풀이
5. 십이신살(十二神殺)----------------------41
1) 12신살(十二神殺)이란 무엇인가?
2) 12신살(十二神殺) 도표
3) 12신살과 12운성 적용 사주풀이
6. 육십갑자(六十甲子) 및 공망(空亡)----------55
1) 공망(空亡)
2) 공망과 사주풀이
3) 지장간(支藏干)
7. 십성(十星),육신(六神)육친(六親)----------- 60
1) 육친(六親)
2) 육친 조견표(六親 早見表)
3) 육친(六親) 사주풀이
8. 사주의 신강(身强), 신약(身弱)---------- 74
1) 사주체의 강약 구분론
1) 신강(身强), 신약(身弱) 구분과 사주 분석
9. 궁합(宮合) 보기----------------------96
1) 궁합
2) 궁합에 영향을 주는 신살 정리
3) 남녀 결혼 대길 연령 조견표, 길과 흉의 시기
10. 이사와 생활에 유익한 방위 정리---------102
1) 삼재(三災)
2) 삼살 방위(三煞方位)
3) 대장군 방위(大將軍 方位)
11. 고전(古典)에서 살펴본 행운론(行運論)------------105
1) 대운의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
2) 流年의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
3) 대운과 유년의 길흉 종합
12. 물상천간론(物象天干論) ---------------119
13. 격국 용신론(格局 用神論) --------------145
1) 격국과 용신
2) 용신(用神)이란
※ 參考文獻------------------------265
도서 정보
기초편이라고 중간 제목을 달고 나니 중급반 이상일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오랜 세월 현업 생활에서 느낀것은 항상 기초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30여년 상담을 하고 대학원 강의를 하지만 항상 기초에 목 말라 하는 것이 명리학의
정점이라고 할수있다.
언제든 서재는 열려 있으니 궁금 한것은 물어 봐주시길.
오랜 세월 현업 생활에서 느낀것은 항상 기초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30여년 상담을 하고 대학원 강의를 하지만 항상 기초에 목 말라 하는 것이 명리학의
정점이라고 할수있다.
언제든 서재는 열려 있으니 궁금 한것은 물어 봐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