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PMBOK (7th edition)
프로젝트 관리 표준서
1. 서론
1.1 프로젝트 관리 표준서의 목적
1.2 주요 용어 및 개념
1.3 이 표준서의 사용 대상
2. 가치 인도 시스템
2.1 가치 창출
2.2 조직 거버넌스 시스템
2.3 프로젝트 관련 기능
2.4 프로젝트 환경
2.5 제품 관리 고려사항
3. 프로젝트 관리 원칙
3.1 성실하고 존경할 만하며 배려심 있는 관리자 되기
3.2 협력적인 프로젝트팀 환경 형성
3.3 이해관계자와 효과적으로 교류한다
3.4 가치 중점
3.5 시스템 상호 작용에 대한 인식, 평가 및 대응
3.6 리더십 행동 보여주기
3.7 상황에 따른 조정
3.8 프로세스 및 인도물의 품질 체계 구축
3.9 복잡성 탐색
3.10 리스크 대응 최적화
3.11 적응성 및 복원력 수용
3.12 계획된 미래 상태 달성을 위한 변화
프로젝트관리지식체계 지침서(PMBOK® GUIDE)
1. 서론
1.1 PMBOK® Guide의 구조
1.2 PMBOK® Guide와 프로젝트관리 표준서의 관계
1.3 PMBOK® Guide의 변경 사항
1.4 PMI standards+와의 관계
2. 프로젝트 성과영역
2.1 이해관계자 성과영역
2.2 팀 성과영역
2.3 개발방식 및 생애주기 성과영역
2.4 기획 성과영역
2.5 프로젝트 작업 성과영역
2.6 인도 성과영역
2.7 성과측정 영역
2.8 불확실성 성능 도메인
3. 조정
3.1 개요
3.2 조정이 필요한 이유
3.3 조정 대상
3.4 조정 프로세스
3.5 성과영역 조정
3.6 진단
3.7 요약
4. 모델, 방법 및 가공품
4.1 개요
4.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델
4.3 성과영역에 적용되는 모델
4.4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델
4.5 성과영역에 적용되는 방법
4.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과물
4.7 성과영역에 적용되는 결과물
5. 애자일 기본 핵심(41개)
6. 부록
PMBOK (7th edition)
프로젝트 관리 표준서
1. 서론
1.1 프로젝트 관리 표준서의 목적
1.2 주요 용어 및 개념
1.3 이 표준서의 사용 대상
2. 가치 인도 시스템
2.1 가치 창출
2.2 조직 거버넌스 시스템
2.3 프로젝트 관련 기능
2.4 프로젝트 환경
2.5 제품 관리 고려사항
3. 프로젝트 관리 원칙
3.1 성실하고 존경할 만하며 배려심 있는 관리자 되기
3.2 협력적인 프로젝트팀 환경 형성
3.3 이해관계자와 효과적으로 교류한다
3.4 가치 중점
3.5 시스템 상호 작용에 대한 인식, 평가 및 대응
3.6 리더십 행동 보여주기
3.7 상황에 따른 조정
3.8 프로세스 및 인도물의 품질 체계 구축
3.9 복잡성 탐색
3.10 리스크 대응 최적화
3.11 적응성 및 복원력 수용
3.12 계획된 미래 상태 달성을 위한 변화
프로젝트관리지식체계 지침서(PMBOK® GUIDE)
1. 서론
1.1 PMBOK® Guide의 구조
1.2 PMBOK® Guide와 프로젝트관리 표준서의 관계
1.3 PMBOK® Guide의 변경 사항
1.4 PMI standards+와의 관계
2. 프로젝트 성과영역
2.1 이해관계자 성과영역
2.2 팀 성과영역
2.3 개발방식 및 생애주기 성과영역
2.4 기획 성과영역
2.5 프로젝트 작업 성과영역
2.6 인도 성과영역
2.7 성과측정 영역
2.8 불확실성 성능 도메인
3. 조정
3.1 개요
3.2 조정이 필요한 이유
3.3 조정 대상
3.4 조정 프로세스
3.5 성과영역 조정
3.6 진단
3.7 요약
4. 모델, 방법 및 가공품
4.1 개요
4.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델
4.3 성과영역에 적용되는 모델
4.4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델
4.5 성과영역에 적용되는 방법
4.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과물
4.7 성과영역에 적용되는 결과물
5. 애자일 기본 핵심(41개)
6. 부록
도서 정보
PMBOK 7판은 6판에 비해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프로세스 보다는 개념 위주로 변경되었고 가치, 고객만족, 성과 위주로 진화하였습니다. 12개의 원칙과 8영역의 성과영역이 대표적으로 등장합니다. PMBOK 6판에 있었던 프로세스는 이제 조직 스스로 알아서 구축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PMBOK 7판은 조직에 맞게 프로세스를 스스로 조정하고 프로젝트 관리 경쟁력을 높이기를 제안합니다. 시대가 변화하기 때문에 애자일을 많이 반영하고 변화에 대한 대응을 많이 강조하고 있습니다.
다소 많은 부분이 변경되었지만 PMP는 프로젝트 관리를 하시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PMP가 목표가 아닌 프로젝트 전문가가 되는 과정에서 얻는 당연한 자격증으로 생각하고, 보다 프로젝트 관련 더 많은 지식을 쌓아 국제 경쟁력을 가지는 훌륭한 전문가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이 학습서가 개인의 자기계발과 더불어 지속적인 동기유발을 위한 자격증 준비를 위한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PM은 Power를 가져야 하고, 힘을 가진 능력 있는 전문가입니다. 이에 PMP Power가 국제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인 PMP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취득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소 많은 부분이 변경되었지만 PMP는 프로젝트 관리를 하시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PMP가 목표가 아닌 프로젝트 전문가가 되는 과정에서 얻는 당연한 자격증으로 생각하고, 보다 프로젝트 관련 더 많은 지식을 쌓아 국제 경쟁력을 가지는 훌륭한 전문가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이 학습서가 개인의 자기계발과 더불어 지속적인 동기유발을 위한 자격증 준비를 위한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PM은 Power를 가져야 하고, 힘을 가진 능력 있는 전문가입니다. 이에 PMP Power가 국제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인 PMP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취득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