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부: 문체론 stilo de Esperanto
1. 문체란 무엇인가? /9
2. 좋은 문체는 좋은 소리를 갖는다. /10
가. 쉽게 발음할 수 없는 소리의 상충(相沖) /10
나. 반복되는 단어 /12
다. 기타 중복되는 사항 /34
라. 운(韻) /40
3. 좋은 문체는 뜻이 명확하다. /55
가. 관례적인 어순 /55
나. 꼭 지켜야할 어순 /63
다. 어순의 변경 /74
4. 좋은 문체는 단순하다. /76
5. 사족(蛇足)을 버리라! /89
가. 필요의 원칙 /89
나. 충분의 원칙 /89
6. 좋은 문체는 논리적(論理的)이다. /98
7. 미흡(未洽)한 강조(强調) /106
8. 좋은 문체는 어휘가 다양하다. /109
9. 불필요한 신어(新語)를 피하라 ! /111
10. 좋은 문체는 주제와 조화(調和)를 이룬다. /125
II 부: 오작문(誤作文)의 해설과 교정 /129
가. 이럴 때는 이렇게 (1번~50번) /129
나. 기타 오작문들 (51번~140번) /188
1. 문체란 무엇인가? /9
2. 좋은 문체는 좋은 소리를 갖는다. /10
가. 쉽게 발음할 수 없는 소리의 상충(相沖) /10
나. 반복되는 단어 /12
다. 기타 중복되는 사항 /34
라. 운(韻) /40
3. 좋은 문체는 뜻이 명확하다. /55
가. 관례적인 어순 /55
나. 꼭 지켜야할 어순 /63
다. 어순의 변경 /74
4. 좋은 문체는 단순하다. /76
5. 사족(蛇足)을 버리라! /89
가. 필요의 원칙 /89
나. 충분의 원칙 /89
6. 좋은 문체는 논리적(論理的)이다. /98
7. 미흡(未洽)한 강조(强調) /106
8. 좋은 문체는 어휘가 다양하다. /109
9. 불필요한 신어(新語)를 피하라 ! /111
10. 좋은 문체는 주제와 조화(調和)를 이룬다. /125
II 부: 오작문(誤作文)의 해설과 교정 /129
가. 이럴 때는 이렇게 (1번~50번) /129
나. 기타 오작문들 (51번~140번) /188
도서 정보
1부에서는 ‘문체론 9원칙’과 예문들을 소개하고,
2부에서는 국내외의 오작문 140개를 수집 · 교정 · 해설함으로써
‘왜 그렇게 쓰면 안 되지?’라는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게 해준다.
2부에서는 국내외의 오작문 140개를 수집 · 교정 · 해설함으로써
‘왜 그렇게 쓰면 안 되지?’라는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