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제1장 일반 노사관계의 개요 / 10
제1절 일반 노사관계의 의의 / 10
제2절 일반 노사관계와 공무원 노사관계의 차이 / 15
제2장 일반 노동조합의 설립・운영 / 18
제1절 일반 노동조합의 설립 / 18
제2절 노동조합의 조직변동 / 25
제3절 노동조합 운영 / 32
제4절 조합기구 / 41
제5절 조합의 임원 / 48
제3장 단체교섭·단체협약 / 56
제1절 단체교섭 / 56
제2절 단체협약 성립 / 66
제3절 단체협약내용·효력 / 73
제4절 단체협약 적용범위 / 81
제4장 쟁의행위 / 92
제1절 쟁의행위의 정당성 / 92
제2절 제한과 금지 / 105
제3절 직장폐쇄 / 117
제5장 필수유지업무제도 / 124
제1절 필수유지업무제도 개요 / 124
제2절 필수유지업무제도 운영 요령/ 133
제6장 부당노동행위 / 138
제1절 유형 / 138
제2절 구제 / 149
제7장 복수노동조합제도 / 156
제1절 복수노동조합조제도 / 156
제2절 교섭창구단일화절차 / 162
제3절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 / 181
제4절 복수노조제도와 부당노동행위 / 188
제8장 근로시간면제제도 / 192
제1절 제도의의 / 192
제2절 근로시간면제한도고시 / 193
제3절 근로시간면제한도 적용기준 / 196
제4절 근로시간면제한도 관련 노동관계법 규정 / 211
제9장 노동관계 조정 및 중재 / 222
제1절 단체교섭 절차 / 222
제2절 주요 단체협약안 / 230
제3절 노동쟁의 조정 / 238
제4절 중재 / 246
제5절 공익사업 등의 조정에 관한 특칙 / 251
제6절 긴급조정 / 253
참고문헌 / 255
제1장 일반 노사관계의 개요 / 10
제1절 일반 노사관계의 의의 / 10
제2절 일반 노사관계와 공무원 노사관계의 차이 / 15
제2장 일반 노동조합의 설립・운영 / 18
제1절 일반 노동조합의 설립 / 18
제2절 노동조합의 조직변동 / 25
제3절 노동조합 운영 / 32
제4절 조합기구 / 41
제5절 조합의 임원 / 48
제3장 단체교섭·단체협약 / 56
제1절 단체교섭 / 56
제2절 단체협약 성립 / 66
제3절 단체협약내용·효력 / 73
제4절 단체협약 적용범위 / 81
제4장 쟁의행위 / 92
제1절 쟁의행위의 정당성 / 92
제2절 제한과 금지 / 105
제3절 직장폐쇄 / 117
제5장 필수유지업무제도 / 124
제1절 필수유지업무제도 개요 / 124
제2절 필수유지업무제도 운영 요령/ 133
제6장 부당노동행위 / 138
제1절 유형 / 138
제2절 구제 / 149
제7장 복수노동조합제도 / 156
제1절 복수노동조합조제도 / 156
제2절 교섭창구단일화절차 / 162
제3절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 / 181
제4절 복수노조제도와 부당노동행위 / 188
제8장 근로시간면제제도 / 192
제1절 제도의의 / 192
제2절 근로시간면제한도고시 / 193
제3절 근로시간면제한도 적용기준 / 196
제4절 근로시간면제한도 관련 노동관계법 규정 / 211
제9장 노동관계 조정 및 중재 / 222
제1절 단체교섭 절차 / 222
제2절 주요 단체협약안 / 230
제3절 노동쟁의 조정 / 238
제4절 중재 / 246
제5절 공익사업 등의 조정에 관한 특칙 / 251
제6절 긴급조정 / 253
참고문헌 / 255
도서 정보
일반 노동조합의 설립·운영, 단체교섭·단체협약, 쟁의행위, 필수유지업무제도, 부당노동행위, 복수노조제도, 근로시간면제제도, 노동관계 조정 및 중재에 대하여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을 중심으로 판례 및 행정해석과 함께 다루었고 이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일반노사관계 현장에서 실무 담당자들이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