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나의 욕망(欲) 바르게 알기 6
제2장 『예기(禮記)』의 칠정(七情): 정인(情人), 감정의 인간 28
제3장 공자(孔子)의 호학(好學): 자기의 감정 배우기 44
제4장 『대학(大學)』의 격물치지(格物致知): 나 바르게 알기 74
제5장 『중용(中庸)』의 치중화(致中和): 내 감정 바르게 알기 108
제6장 맹자(孟子)의 사단(四端): 감정의 자기 이해 142
제7장 퇴계(退溪)의 리발기수(理發氣隨): 감정과학 공식 174
제8장 율곡(栗谷)의 성학집요(聖學輯要): 감정과학? 198
참고문헌 206
제2장 『예기(禮記)』의 칠정(七情): 정인(情人), 감정의 인간 28
제3장 공자(孔子)의 호학(好學): 자기의 감정 배우기 44
제4장 『대학(大學)』의 격물치지(格物致知): 나 바르게 알기 74
제5장 『중용(中庸)』의 치중화(致中和): 내 감정 바르게 알기 108
제6장 맹자(孟子)의 사단(四端): 감정의 자기 이해 142
제7장 퇴계(退溪)의 리발기수(理發氣隨): 감정과학 공식 174
제8장 율곡(栗谷)의 성학집요(聖學輯要): 감정과학? 198
참고문헌 206
도서 정보
이 책은 유교의 가르침이 반전평화에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 가르침에 일관된 단 하나의 논리가 무엇인지 탐구합니다. 이 연구의 바탕은 『예기』,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성학십도』, 『성학집요』 입니다. 유교 고전 읽기를 통해서, 이 책은 유교의 반전평화가 ‘감정’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그리고 감정이 자기 안에서 자기 스스로 확인하는 자기 본성의 필연성이 반전평화의 논리라는 사실을 증명합니다. 이것은 이 책의 부제가 ‘감정과학 입문(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Feelings)’인 이유입니다. 감정과학은 감정의 필연성을 설명하는 단 하나의 공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공식 안에서 모든 감정은 자신에 대한 타당한 이해를 스스로 확인합니다. 이것을 감정의 자기이해라고 하며, 이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 감정과학입니다. 그러므로 이 책은 유교의 반전평화의 논리를 탐구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감정과학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감정과학 입문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