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 자서(自序) - 4
□ 별이 가슴에 담기면
우리들의 아름다운 ‘누이’ / ‘누이(김정현 저)’ 를 읽고 - 11
(제21회 영광독서감상문 현상공모전 은상)
인간과 자연의 조화 /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을 읽고 - 18
(제1회 부산북스타트(BBS) 독서감상문쓰기 백일장 최우수상)
감나무의 기억 저편에서 - 22
(제36회 근로자문학제 수필부문 동상)
아프리카, 아! 슬픈 대륙 - 27
(부산일보 ‘내 마음 속 작품’ 코너 게재)
나는 ‘도시 농업인(都市 農業人)’ - 29
(제6회 ‘직업 사랑’ 글짓기 공모전 최우수상)
별의 순례자 / ‘인생수업’을 읽고 - 33
(제17회 영광독서감상문 현상공모전 최우수상)
별들의 친구 권경업 시인께 / ‘별들이 쪽잠을 자고 간’ 을 읽고 - 39
(제8회 요산문학제 독서감상문 공모전 장려상)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 / ‘바보 이반의 산 이야기’를 읽고 - 45
(제7회 요산문학제 독후감현상 공모전 우수상)
먼 항해를 시작하는 아들에게 - 51
(제1회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랑의 편지쓰기’ 대회 금상)
어느 방호원의 일기 - 54
‘설거지’에 대한 단상(斷想) - 55
(제13회 동백가족 글자랑 대회 입선)
독서, 부모가 먼저 모범을 - 59
(부산시 해운대교육청 독서축제 ‘자녀독서지도사례’ 부문 금상)
단풍 - 65
(제10회 부산예술제 전국백일장 차상)
그 청년 - 71
(제12회 요산문학제 전국시민백일장 입선)
Home, sweet home(즐거운 나의 집) - 76
(제2회 ‘저출산고령화사회’ 백일장 최우수 / 부산시장상)
수영강 ‘거북등갑 바위’ / 스토리텔링 - 8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1동 역사박물관’ 게시)
프러포즈(propose) - 86
(2014년 부산시 해운대구 스토리텔링 공모전 우수상)
꿈꾸는 낙동강 하구 - 95
(자연환경보존 제19회 전국글짓기대회 특상 / 부산시장상)
요즘 시(詩) 한 편 읽으세요? - 103
유채씨와 보리씨 / ‘꿈꾸는 씨앗’을 읽고 - 108
(영남일보 독서 문학상 공모전 장려상)
우리는 과연 행복한가? - 115
세계로 더욱 당당하게 뻗어 나갈 한글 - 125
(제5회 韓•比 우리말글짓기대회 / 외교부장관상)
겨울 고향 - 129
(MBC 지금은 라디오 시대 ‘고향 일기’ 코너 방송)
길을 떠나며 - 132
(제10회 요산 문학제 백일장 차하)
‘코스모스’와 ‘다문화’ - 135
지혜 이야기 - 138
땅에 기초를 놓은 하나님 - 141
□ 작은 외침 큰 울림 (부산일보 투고 / ‘독자칼럼’ / 2013-2018)
만년필은 인격 수양의 도구 - 158
“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사라져” - 160
이제는 ‘농업 르네상스’ 시대다 - 162
달맞이 언덕과 로렐라이 언덕 - 164
아듀, 동해남부선 해운대~송정 구간 - 166
둔필승총, 기록하는 일을 생활화 하자 - 168
올바른 역사관으로 나라를 지키자 - 170
‘종자 산업’은 국가 경쟁력 - 172
자녀의 손을 잡고 서점에 가자 - 174
상상력은 부가가치가 높다 - 176
예술에 대한 몰상식 안타까워 - 178
시 한 편과 차 한 잔의 여유를 - 180
⚪에필로그 /
귀국길에 만난 달(月) - 183
(우리 모두는 별의 순례자)
⚪‘별의 순례자’ 표사 / - 191
(인간 본디의 성심과 순수함을 찾아서)
▶ 자서(自序) - 4
□ 별이 가슴에 담기면
우리들의 아름다운 ‘누이’ / ‘누이(김정현 저)’ 를 읽고 - 11
(제21회 영광독서감상문 현상공모전 은상)
인간과 자연의 조화 /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을 읽고 - 18
(제1회 부산북스타트(BBS) 독서감상문쓰기 백일장 최우수상)
감나무의 기억 저편에서 - 22
(제36회 근로자문학제 수필부문 동상)
아프리카, 아! 슬픈 대륙 - 27
(부산일보 ‘내 마음 속 작품’ 코너 게재)
나는 ‘도시 농업인(都市 農業人)’ - 29
(제6회 ‘직업 사랑’ 글짓기 공모전 최우수상)
별의 순례자 / ‘인생수업’을 읽고 - 33
(제17회 영광독서감상문 현상공모전 최우수상)
별들의 친구 권경업 시인께 / ‘별들이 쪽잠을 자고 간’ 을 읽고 - 39
(제8회 요산문학제 독서감상문 공모전 장려상)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 / ‘바보 이반의 산 이야기’를 읽고 - 45
(제7회 요산문학제 독후감현상 공모전 우수상)
먼 항해를 시작하는 아들에게 - 51
(제1회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랑의 편지쓰기’ 대회 금상)
어느 방호원의 일기 - 54
‘설거지’에 대한 단상(斷想) - 55
(제13회 동백가족 글자랑 대회 입선)
독서, 부모가 먼저 모범을 - 59
(부산시 해운대교육청 독서축제 ‘자녀독서지도사례’ 부문 금상)
단풍 - 65
(제10회 부산예술제 전국백일장 차상)
그 청년 - 71
(제12회 요산문학제 전국시민백일장 입선)
Home, sweet home(즐거운 나의 집) - 76
(제2회 ‘저출산고령화사회’ 백일장 최우수 / 부산시장상)
수영강 ‘거북등갑 바위’ / 스토리텔링 - 8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1동 역사박물관’ 게시)
프러포즈(propose) - 86
(2014년 부산시 해운대구 스토리텔링 공모전 우수상)
꿈꾸는 낙동강 하구 - 95
(자연환경보존 제19회 전국글짓기대회 특상 / 부산시장상)
요즘 시(詩) 한 편 읽으세요? - 103
유채씨와 보리씨 / ‘꿈꾸는 씨앗’을 읽고 - 108
(영남일보 독서 문학상 공모전 장려상)
우리는 과연 행복한가? - 115
세계로 더욱 당당하게 뻗어 나갈 한글 - 125
(제5회 韓•比 우리말글짓기대회 / 외교부장관상)
겨울 고향 - 129
(MBC 지금은 라디오 시대 ‘고향 일기’ 코너 방송)
길을 떠나며 - 132
(제10회 요산 문학제 백일장 차하)
‘코스모스’와 ‘다문화’ - 135
지혜 이야기 - 138
땅에 기초를 놓은 하나님 - 141
□ 작은 외침 큰 울림 (부산일보 투고 / ‘독자칼럼’ / 2013-2018)
만년필은 인격 수양의 도구 - 158
“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사라져” - 160
이제는 ‘농업 르네상스’ 시대다 - 162
달맞이 언덕과 로렐라이 언덕 - 164
아듀, 동해남부선 해운대~송정 구간 - 166
둔필승총, 기록하는 일을 생활화 하자 - 168
올바른 역사관으로 나라를 지키자 - 170
‘종자 산업’은 국가 경쟁력 - 172
자녀의 손을 잡고 서점에 가자 - 174
상상력은 부가가치가 높다 - 176
예술에 대한 몰상식 안타까워 - 178
시 한 편과 차 한 잔의 여유를 - 180
⚪에필로그 /
귀국길에 만난 달(月) - 183
(우리 모두는 별의 순례자)
⚪‘별의 순례자’ 표사 / - 191
(인간 본디의 성심과 순수함을 찾아서)
도서 정보
(‘별의 순례자’ 표사)
인간 본디의 성심과 순수함을 찾아서
박옥현의『별의 순례자』에 실린 작품을 읽고 나면, 인간 본디의 성심과 순수함에서 비롯된 삶의 모습이 보여 주는 진가를 느끼게 될 것이다.
이 책을 읽게 될 많은 사람들은 작품에서 얻게 될 감동을 통해, 잃어버린 시간에 대한 그리움과 정신적 풍요가 빚어낼 수 있는 따뜻함에 동화될 것이다.
20여 년간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박옥현 그는, 마음의 추를 중심에 잘 붙이고 놀라운 균형 감각을 유지하며, 한 아들의 아버지로서 한 여자의 남편으로서 초록별 사람들의 주변인으로서 해야 할 역할을 이름 없는 성자처럼 수행해 왔다.
사람은 지금 이 순간에, 누구와 함께 있느냐에 따라 자신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이 책에 있는 작품 한 편 한 편을 읽으며, 소소한 아름다움이 세상에 끼칠 수 있는 지대한 영향력을 발견하기 바란다.
작품을 곰곰이 이해하고 나의 주변인인 다른 사람의 삶을 바라보며, 더불어 넘어가는 겹겹의 종이 향기 그 속에서 잘 숙성된 박옥현 작가의 글 향기와 삶의 진경을 느껴보기 바란다.
-시집『흰 비탈』의 시인
이 숙 경
인간 본디의 성심과 순수함을 찾아서
박옥현의『별의 순례자』에 실린 작품을 읽고 나면, 인간 본디의 성심과 순수함에서 비롯된 삶의 모습이 보여 주는 진가를 느끼게 될 것이다.
이 책을 읽게 될 많은 사람들은 작품에서 얻게 될 감동을 통해, 잃어버린 시간에 대한 그리움과 정신적 풍요가 빚어낼 수 있는 따뜻함에 동화될 것이다.
20여 년간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박옥현 그는, 마음의 추를 중심에 잘 붙이고 놀라운 균형 감각을 유지하며, 한 아들의 아버지로서 한 여자의 남편으로서 초록별 사람들의 주변인으로서 해야 할 역할을 이름 없는 성자처럼 수행해 왔다.
사람은 지금 이 순간에, 누구와 함께 있느냐에 따라 자신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이 책에 있는 작품 한 편 한 편을 읽으며, 소소한 아름다움이 세상에 끼칠 수 있는 지대한 영향력을 발견하기 바란다.
작품을 곰곰이 이해하고 나의 주변인인 다른 사람의 삶을 바라보며, 더불어 넘어가는 겹겹의 종이 향기 그 속에서 잘 숙성된 박옥현 작가의 글 향기와 삶의 진경을 느껴보기 바란다.
-시집『흰 비탈』의 시인
이 숙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