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잠깐! 비회원구입을 원하시나요?!
  • 부크크의 회원가입은 다른 곳의 비회원 구매보다 간단합니다.

회원가입

프로젝트 : CCS 혁신기술

0개

|

후기 0

  • 환불규정 : 다운로드 후에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분야무료체험판
작가김 헌
출판형태전자책
파일형태 PDF
파일크기0.01MB
출판사부크크
ISBN 9791127288532
출판일2019.11.18
총 상품 금액 10,000

저자 소개

대표 편집자 : 김 헌 교수 (명지대 에너지융합공학과)
참여저자 : 서정길 교수 (명지대 에너지융합공학과)
정욱진 교수 (명지대 에너지융합공학과)
정상국 교수 (명지대 기계공학과)
이규진 교수 (명지대 기계공학과)
김도현 교수 (명지대 기계공학과)
박용태 교수 (명지대 기계공학과)
최신식 교수 (명지대 식품영양학과)
구상호 교수 (명지대 화학과)
이동기 교수 (명지대 화학과)
박노경 교수 (명지대 화학과)
이안나 교수 (명지대 화학과)

번역자 소개 (번역서인 경우 입력해주세요.)

목차

Part I. CCS Innovation Technology to Conversion/Utilization

1
In situ observation of carbon dioxide capture on pseudo-liquid eutectic mixture-promoted magnesium oxide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8) 10:2414-2422
2
Stabilization of NaNO3‑promoted magnesium oxide for high-temperature CO2 captur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018) 52:11952−11959
3
Promoting discarded packing waste into value-added 2D porous carbon flakes for multifunctional applications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 (2019) 7:11944−11954
4
Mechanistic insight into the quantitative synthesis of acetic acid by direct conversion of CH4 and CO2: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pproach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2018) 29:237–248
5
Mg-ion inversion in MgO@MgO@Al2O3 oxides: The origin of basic sites
ChemSusChem (2019) 12:2810-2818
6
Catalytic developments in the direct dimethyl carbonate synthesis from carbon dioxide and methanol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17) 323:530–544
7
Ionic liquid as a catalyst for utilization of carbon dioxide to production of linear and cyclic carbonate
Fuel (2017) 200:316–332
8
CuCl2@Poly-IL catalyzed carboxylation of terminal alkynes through CO2 utilizatio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17) 326:1009–1019
9
Synergistic effect of a binary ionic liquid/base catalytic system for efficient conversion of epoxide and carbon dioxide into cyclic carbonates
Journal of CO2 Utilization (2019) 33:284-291
10
Reaction parameters dependence of the CO2/epoxide coupling reaction catalyzed by tunable ionic liquids, optimization of comonomer-alternating enhancement pathway
Journal of CO2 Utilization (2019) 33:500-512

Part II. CCS Innovation Technology to Energy 4.0

1
Role of ring ortho substituents on the configuration of carotenoid polyene chains
Organic Letters (2018) 20:493-496
2
Design,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rinted-circuit-board microfluidic electrolytic pump for lab-on-a-chip devices
Sensors and Actuators A (2018) 277:73–84
3
A RNA producing DNA hydrogel as a platform for a high performance RNA interference system
Nature Communications (2018) 9:4331-4341
4
Layer-by-layer assembled graphene multilayers on multidimensional surfaces for highly durable, scalable, and wear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2018) 6:3108-3115
5
A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cell formats on the cycle life of lithium ion batteries
Journal of Electrochemical Society (2019) 166:A1769-A1778
6
A new device concept for bacterial sensing by Raman spectroscopy and voltage-gated monolayer graphene
Nanoscale (2019) 11:8528–8537
7
Visible-light-driven silver-catalyzed one-pot approach: A selective synthesis of diaryl sulfoxides and diaryl sulfones
Organic Letters (2018) 20:764−767
8
Smart self-cleaning lens cover for miniature cameras of automobiles
Sensors and Actuators B (2017) 239:754–758
9
The potential of monocationic imidazolium-, phosphonium-, and ammonium-based hydrophilic ionic liquids as draw solutes for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2018) 44:94-106
10
Structural insights into the binding behavior of isoflavonoid glabridin with human serum albumin
Food Hydrocolloids (2019) 91:290-300

도서 정보

CO2를 비롯한 온실가스 문제로 인한 전지구적인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2030년, 2050년까지 중장기적으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핵심 및 혁신기술 개발 노력 및 국제간 협력이 매우 중요하고 절실한 글로벌 이슈가 되었다. 이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는 기술성 및 경제성을 보장하는 혁신적인 기술 (포집, 이송, 저장, 모니터링,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및 에너지로 전환, 관련 이용, 유관 환경/에너지/소재 융합기술)을 개발하며 이를 범용화하고 이를 국내외적으로 보급하기 위한 정책 및 국제표준화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며 할 수 있는 환경에너지융합 기술기반 산학협력 대학원 연구/개발/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고 그러한 기술 능력을 지닌 CCS공정 고급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환경에너지융합 CCS공정 혁신기술 고급트랙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인력양성사업 2017-2022)> 사업 등이 국가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사업에서 주안점을 두는 2가지 혁신기술로서, (1) CCS 전환기술, (2) CCS 4차산업 연계기술용 교육/연구프로그램을 구축/수행하면서 프로젝트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종합교재로서, 본 사업 참여교수들의 사업 관련 최신 프로젝트 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CCS 혁신기술> 교재를 편집하여 발간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