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ONTENT
머리말 /6
제1장 기초통계량 및 그래프
비법01. 기초 통계량 탐색하기 /11
비법02. 그래프로 비교하기 /24
비법03. 구성 항목별로 요약하기 /40
비법04. 변동의 추세 파악하기 /51
비법05. 변수간 관계 탐색하기 /63
제2장 통계적 가설검정
비법06. 통계적 가설검정 이해하기 /81
비법07. 표본의 정규성 검정하기 /92
비법08. 단일 표본의 평균 검정하기 /98
비법09. 단일 표본의 표준편차 검정하기 /105
비법10. 단일 표본의 비율 검정하기 /112
비법11. 카이-제곱 적합도 검정하기 /119
비법12. 독립적인 두 표본의 평균 비교 검정하기 /125
비법13. 종속적인 두 표본의 평균 비교 검정하기 /132
비법14. 두 표본의 표준편차 비교 검정하기 /140
비법15. 두 표본의 비율 비교 검정하기 /148
비법16. 카이-제곱 연관성 검정하기 /155
비법17. 세 개 이상 표본의 평균 비교 검정하기 /166
비법18. 카이-제곱 불량률 검정하기 /173
제3장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비법19. 상관 관계의 크기 확인하기 /181
비법20. 회귀 모형으로 결과 예측하기 /187
부록
부록01. 미니탭(Minitab) 소개 /205
부록02. 영문 표기 /208
머리말 /6
제1장 기초통계량 및 그래프
비법01. 기초 통계량 탐색하기 /11
비법02. 그래프로 비교하기 /24
비법03. 구성 항목별로 요약하기 /40
비법04. 변동의 추세 파악하기 /51
비법05. 변수간 관계 탐색하기 /63
제2장 통계적 가설검정
비법06. 통계적 가설검정 이해하기 /81
비법07. 표본의 정규성 검정하기 /92
비법08. 단일 표본의 평균 검정하기 /98
비법09. 단일 표본의 표준편차 검정하기 /105
비법10. 단일 표본의 비율 검정하기 /112
비법11. 카이-제곱 적합도 검정하기 /119
비법12. 독립적인 두 표본의 평균 비교 검정하기 /125
비법13. 종속적인 두 표본의 평균 비교 검정하기 /132
비법14. 두 표본의 표준편차 비교 검정하기 /140
비법15. 두 표본의 비율 비교 검정하기 /148
비법16. 카이-제곱 연관성 검정하기 /155
비법17. 세 개 이상 표본의 평균 비교 검정하기 /166
비법18. 카이-제곱 불량률 검정하기 /173
제3장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비법19. 상관 관계의 크기 확인하기 /181
비법20. 회귀 모형으로 결과 예측하기 /187
부록
부록01. 미니탭(Minitab) 소개 /205
부록02. 영문 표기 /208
도서 정보
데이터 분석 비법노트(Minitab과 기초통계 활용 실무 가이드)
'빅데이터(Big data) 세상’이라고 하는데, 데이터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가?
데이터는 6시그마 개선 활동이나 프로세스 문제 해결에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중요한 자원이며, 그 속에 숨어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지름길은 통계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이 책은 6시그마 교육을 이수하였거나 혹은 통계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 실무자가 Minitab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행하고자 할 때, 분석 목적과 자료의 형태에 적합한 통계 분석 도구를 선택하고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빅데이터(Big data) 세상’이라고 하는데, 데이터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가?
데이터는 6시그마 개선 활동이나 프로세스 문제 해결에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중요한 자원이며, 그 속에 숨어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지름길은 통계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이 책은 6시그마 교육을 이수하였거나 혹은 통계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 실무자가 Minitab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행하고자 할 때, 분석 목적과 자료의 형태에 적합한 통계 분석 도구를 선택하고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