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 례
머리말 5
차례 7
여는 장 17
1. 4 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 팬데믹 18
2.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20
3. 인공지능 및 다중지능의 창의적 활용 21
4. 세계 속의 한국의 위상의 전환 22
제 1부.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추진 상황 26
제 1장. 4차 산업혁명의 특성 27
1.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 팬데믹 28
2. 세계경제포럼과 4차 산업혁명 30
3. 4차 산업혁명의 기술과 방법 34
4. 4차 산업혁명의 영향 35
5. 4차 산업 성공을 위한 핵심 역량 39
6. 4차 산업혁명과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41
7. 1차, 2차, 3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의 성격 비교 43
8. 4차 산업혁명의 특성 46
제 2장. 한국에서의 4차 산업혁명 추진 상황 49
1. 다보스포럼과 한국 각계의 4차 산업혁명의 추진 50
2.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추진체제 50
3. 언론계, 대학 및 협동 노력 53
제 2부. 4차 산업혁명과 창의적 인재양성정책 57
제 3장. 창의적 인재양성과 창의융합교육의 중요성 58
1. 창의적 인재양성의 필요성 59
2. 창의융합교육의 중요성 61
(1). 4차 산업혁명은 교육이 희망 61
(2). 사람과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융·복합 시대의 창의 교육 63
3. 사라지는 직업과 떠오르는 직업에 따른 미래 교육 64
(1). 직업세계의 변화 64
(2) 떠오르는 직업 65
(3). 사라지는 직업 69
4. 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한국의 미흡한 준비 수준 71
5. 한국사회의 낮은 창의성의 수준과 역량 격차 극복 필요성 72
제 4장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창의융합 인재양성 75
1. 1차, 2차, 3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의 인재양성의 비교 76
(1). 1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76
(2). 2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76
(3). 3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78
(4).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81
2. 4차 산업혁명과 창의융합 인재양성의 방향 85
(1). 공급자 측인 대학의 학과와 전공의 통합과 상호 창의적 융합 85
(2). 수요자 중심의 개인 맞춤형 창의융합 교육 85
(3). 4차 산업혁명의 떠오르는 직업에 대한 신규 교육 강화 86
(4). 새로운 창의·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교육 환경 필요 87
(5). 복합적인 문제해결과 사회적 기술과 인지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자의 역할 중요 88
(6). 기초 과정과 심화 과정에 대한 로봇과 인간의 분업 88
(7). 단순지식에 대한 암기보다 이해에 초점을 맞춘 오감 교육 89
(8). 디지털 배지와 에듀블록으로 평가하는 맞춤형 교육성과 90
(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전문직의 미래와 교육혁신 92
(10). 무크와 플립러닝 등 열린 평생 교육체제 93
(11). 빅 데이터가 학습 트레이너가 되어 최상의 학습 경험 제공 94
(12). 미네르바 스쿨, 이우학교, 경남 꿈 키움 중학교 등 비전스쿨 95
(13). 창의융합교육을 선도하는 외국 대학들의 사례 참고 95
3. 4차 산업혁명과 성공적인 교육 방안 96
제 3부. 4차 산업혁명과 다중지능의 활용 101
제 5장 창의융합교육과 다중지능의 활용 102
1.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창의적 인재와 다중지능의 활용 103
2. 다중지능 활용과 창의융합 재능 계발 108
3. 4차 산업혁명과 다중지능이론의 활용 120
4. 어느 누구, 어떤 재능도 살리는 자기주도형 창의융합 교육 124
(1) 직업교육과 대학교육 124
(2) 다양한 지능과 재능에서 뒤처지는 학생 끌어올리기 132
5. 자기주도 학습과 선순환 공교육의 창의융합학습 135
6. '모두의 꿈을 키우는 맞춤형 교육' 138
(1).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과 교육복지 138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 융합형 조기 유아교육 확대 139
7. 영재를 위한 공교육 확대 140
8.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적극적인 추진 144
제 6장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글로벌 인재양성 145
1. 글로벌 경쟁력과 글로벌 인재양성 146
2. 창의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방안 148
(1). 창의인성교육의 필요성 148
(2). 창의인성교육의 방향 151
3. 창의인성교육 대책 155
4. 창의융합 글로벌 인재 양성 162
제4부. 4차 산업혁명과 대학의 혁신 167
제 7장 4차 산업혁명과 한국 대학교육 혁신 168
1. 산업혁명과 대학교육 혁신 169
(1) 1~4차 산업혁명과 동서양의 교육혁신의 차이 169
(2) 물질문명과 정신문명 및 교육의 역할 차이 170
(3) 4차 산업혁명과 교육 혁신 171
(4) 4차 산업혁명, 코로나 19 및 불가피한 교육혁신 174
2.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한국 대학의 문제점과 과제 175
(1). 국가•사회의 미래개척과 연구중심 대학들의 역할 175
(2). 사회적 수요 변화와 각급 대학의 역할 176
(3). 대학 외부 환경의 비혁신성: 사회적 평판과 대학서열화 178
(4). 대학내부구성원들의 구조적 한계와 저조한 변화 대응 능력 179
(5). 대학 시설과 대학 거버넌스의 시대착오적인 비혁신성 180
(6). 학문 후속세대 양성체제의 붕괴 183
3.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한국 대학 혁신정책의 방향 185
(1). 무크를 통한 대학 교육의 근본적인 혁신 185
(2). 대학 간•지역 간 협력과 공유 경제의 확충 및 활성화 188
1) 대학 간 협력과 공유경제 활용 189
2). 대학과 지역의 상생•발전 위한 대학 혁신 190
(3). 외국 대학과의 협력 및 국내 대학의 외국 진출 191
4. 대학 내 학문 영역 간 융합과 특성화 191
5. 학•연•산 복합협력체제 구축 192
6. 한국 대학의 구조조정과 체질 개선을 위한 혁신 방향 193
(1). 대학의 횡적 구조 혁신 방향 193
(2) 대학의 종적 구조 혁신 방안 196
(3). 대학의 체질 개선을 통한 경쟁력 제고 199
1). 정부의 구조개혁 방안 199
2). 정부 계획에 대한 비판 201
3). 비판에 대한 정부의 구조조정 계획 수정 202
4). 향후 보완 방향 204
7. 대학교육 과정의 혁신 206
제 8장. 국내•외 주요 대학들의 혁신사례 207
1. 외국 주요 대학의 혁신 사례 208
(1). 아리조나주립대학교 208
(2). 미네르바스쿨: 세계적인 실험대학 211
(3). 이스라엘 창업국가의 군대와 대학 215
(4.)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인류 미래를 담당하는 진화하는 세계 최고의 명문 대학 218
(5). 미국의 다른 대학의 혁신 사례 요약 221
1). 캘리포니아공대(칼텍: CalTech): 221
2). 조지아공대: 223
(6). 유럽대학의 혁신 사례 요약 224
1).취리히연방공대: 유럽 최고의 공과대학 224
2). 스웨덴왕립공대: 226
(7). 아시아대학들의 혁신 사례 요약 227
1). 칭화대학교: 227
2). 싱가포르국립대: 228
3). 일본 교토대학교: 229
2. 국내 주요 대학 230
(1).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내 주요 대학들의 동향 230
(2). KAIST 232
(3). 한국 대학혁신의 개괄적 평가 234
제 9장. 대학혁신정책의 성공을 위한 정책대안 236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 콘텐츠의 변화 방향 237
2. 대학창업 패러다임 변화 239
3. 기업가형 대학을 위한 대학의 혁신 240
4.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업가형 대학'을 위한 정부의 정책방안 243
닫는 장 245
1. 4차 산업혁명, 코로나 19, 원격교육 혁신 246
2. 문제 해결을 위한 변화의 방향 248
<참고문헌> 251
<저자소개> 261
머리말 5
차례 7
여는 장 17
1. 4 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 팬데믹 18
2.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20
3. 인공지능 및 다중지능의 창의적 활용 21
4. 세계 속의 한국의 위상의 전환 22
제 1부.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추진 상황 26
제 1장. 4차 산업혁명의 특성 27
1.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 팬데믹 28
2. 세계경제포럼과 4차 산업혁명 30
3. 4차 산업혁명의 기술과 방법 34
4. 4차 산업혁명의 영향 35
5. 4차 산업 성공을 위한 핵심 역량 39
6. 4차 산업혁명과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41
7. 1차, 2차, 3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의 성격 비교 43
8. 4차 산업혁명의 특성 46
제 2장. 한국에서의 4차 산업혁명 추진 상황 49
1. 다보스포럼과 한국 각계의 4차 산업혁명의 추진 50
2.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추진체제 50
3. 언론계, 대학 및 협동 노력 53
제 2부. 4차 산업혁명과 창의적 인재양성정책 57
제 3장. 창의적 인재양성과 창의융합교육의 중요성 58
1. 창의적 인재양성의 필요성 59
2. 창의융합교육의 중요성 61
(1). 4차 산업혁명은 교육이 희망 61
(2). 사람과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융·복합 시대의 창의 교육 63
3. 사라지는 직업과 떠오르는 직업에 따른 미래 교육 64
(1). 직업세계의 변화 64
(2) 떠오르는 직업 65
(3). 사라지는 직업 69
4. 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한국의 미흡한 준비 수준 71
5. 한국사회의 낮은 창의성의 수준과 역량 격차 극복 필요성 72
제 4장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창의융합 인재양성 75
1. 1차, 2차, 3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의 인재양성의 비교 76
(1). 1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76
(2). 2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76
(3). 3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78
(4).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81
2. 4차 산업혁명과 창의융합 인재양성의 방향 85
(1). 공급자 측인 대학의 학과와 전공의 통합과 상호 창의적 융합 85
(2). 수요자 중심의 개인 맞춤형 창의융합 교육 85
(3). 4차 산업혁명의 떠오르는 직업에 대한 신규 교육 강화 86
(4). 새로운 창의·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교육 환경 필요 87
(5). 복합적인 문제해결과 사회적 기술과 인지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자의 역할 중요 88
(6). 기초 과정과 심화 과정에 대한 로봇과 인간의 분업 88
(7). 단순지식에 대한 암기보다 이해에 초점을 맞춘 오감 교육 89
(8). 디지털 배지와 에듀블록으로 평가하는 맞춤형 교육성과 90
(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전문직의 미래와 교육혁신 92
(10). 무크와 플립러닝 등 열린 평생 교육체제 93
(11). 빅 데이터가 학습 트레이너가 되어 최상의 학습 경험 제공 94
(12). 미네르바 스쿨, 이우학교, 경남 꿈 키움 중학교 등 비전스쿨 95
(13). 창의융합교육을 선도하는 외국 대학들의 사례 참고 95
3. 4차 산업혁명과 성공적인 교육 방안 96
제 3부. 4차 산업혁명과 다중지능의 활용 101
제 5장 창의융합교육과 다중지능의 활용 102
1.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창의적 인재와 다중지능의 활용 103
2. 다중지능 활용과 창의융합 재능 계발 108
3. 4차 산업혁명과 다중지능이론의 활용 120
4. 어느 누구, 어떤 재능도 살리는 자기주도형 창의융합 교육 124
(1) 직업교육과 대학교육 124
(2) 다양한 지능과 재능에서 뒤처지는 학생 끌어올리기 132
5. 자기주도 학습과 선순환 공교육의 창의융합학습 135
6. '모두의 꿈을 키우는 맞춤형 교육' 138
(1).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과 교육복지 138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 융합형 조기 유아교육 확대 139
7. 영재를 위한 공교육 확대 140
8.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적극적인 추진 144
제 6장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글로벌 인재양성 145
1. 글로벌 경쟁력과 글로벌 인재양성 146
2. 창의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방안 148
(1). 창의인성교육의 필요성 148
(2). 창의인성교육의 방향 151
3. 창의인성교육 대책 155
4. 창의융합 글로벌 인재 양성 162
제4부. 4차 산업혁명과 대학의 혁신 167
제 7장 4차 산업혁명과 한국 대학교육 혁신 168
1. 산업혁명과 대학교육 혁신 169
(1) 1~4차 산업혁명과 동서양의 교육혁신의 차이 169
(2) 물질문명과 정신문명 및 교육의 역할 차이 170
(3) 4차 산업혁명과 교육 혁신 171
(4) 4차 산업혁명, 코로나 19 및 불가피한 교육혁신 174
2.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한국 대학의 문제점과 과제 175
(1). 국가•사회의 미래개척과 연구중심 대학들의 역할 175
(2). 사회적 수요 변화와 각급 대학의 역할 176
(3). 대학 외부 환경의 비혁신성: 사회적 평판과 대학서열화 178
(4). 대학내부구성원들의 구조적 한계와 저조한 변화 대응 능력 179
(5). 대학 시설과 대학 거버넌스의 시대착오적인 비혁신성 180
(6). 학문 후속세대 양성체제의 붕괴 183
3.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한국 대학 혁신정책의 방향 185
(1). 무크를 통한 대학 교육의 근본적인 혁신 185
(2). 대학 간•지역 간 협력과 공유 경제의 확충 및 활성화 188
1) 대학 간 협력과 공유경제 활용 189
2). 대학과 지역의 상생•발전 위한 대학 혁신 190
(3). 외국 대학과의 협력 및 국내 대학의 외국 진출 191
4. 대학 내 학문 영역 간 융합과 특성화 191
5. 학•연•산 복합협력체제 구축 192
6. 한국 대학의 구조조정과 체질 개선을 위한 혁신 방향 193
(1). 대학의 횡적 구조 혁신 방향 193
(2) 대학의 종적 구조 혁신 방안 196
(3). 대학의 체질 개선을 통한 경쟁력 제고 199
1). 정부의 구조개혁 방안 199
2). 정부 계획에 대한 비판 201
3). 비판에 대한 정부의 구조조정 계획 수정 202
4). 향후 보완 방향 204
7. 대학교육 과정의 혁신 206
제 8장. 국내•외 주요 대학들의 혁신사례 207
1. 외국 주요 대학의 혁신 사례 208
(1). 아리조나주립대학교 208
(2). 미네르바스쿨: 세계적인 실험대학 211
(3). 이스라엘 창업국가의 군대와 대학 215
(4.)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인류 미래를 담당하는 진화하는 세계 최고의 명문 대학 218
(5). 미국의 다른 대학의 혁신 사례 요약 221
1). 캘리포니아공대(칼텍: CalTech): 221
2). 조지아공대: 223
(6). 유럽대학의 혁신 사례 요약 224
1).취리히연방공대: 유럽 최고의 공과대학 224
2). 스웨덴왕립공대: 226
(7). 아시아대학들의 혁신 사례 요약 227
1). 칭화대학교: 227
2). 싱가포르국립대: 228
3). 일본 교토대학교: 229
2. 국내 주요 대학 230
(1).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내 주요 대학들의 동향 230
(2). KAIST 232
(3). 한국 대학혁신의 개괄적 평가 234
제 9장. 대학혁신정책의 성공을 위한 정책대안 236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 콘텐츠의 변화 방향 237
2. 대학창업 패러다임 변화 239
3. 기업가형 대학을 위한 대학의 혁신 240
4.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업가형 대학'을 위한 정부의 정책방안 243
닫는 장 245
1. 4차 산업혁명, 코로나 19, 원격교육 혁신 246
2. 문제 해결을 위한 변화의 방향 248
<참고문헌> 251
<저자소개> 261
도서 정보
머리말
4차 산업혁명은 전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모든 질서를 바꾸고 있다. 한국은 1~2차 산업혁명에서는 뒤쳐졌지만 3~4차 산업혁명에서는 세계차원에서 앞서가면서 선진국으로 도약하고 있다.
여기에 2019년 이후 중국 우한코로나(COVID-19)가 아시아지역을 거쳐 전 세계로 확산되고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으로 전개되면서 전 인류는 격어보지 못한 새로운 세상을 맞고 있다. 전 세계는 팬데믹 이전과 이후에 모든 것이 달라질 정도로 근본적인 질서의 변혁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면서 온라인 교육이 대면 교육을 전면적으로 대체하다가 부분적으로 대면 교육이 소규모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대학교육 자체도 근본적인 혁신을 요구받게 되었다.
이에 이 책은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 팬데믹, 그리고 대학교육 혁신의 내용에 대해 논의하여, 대학교육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키우고 한국을 새로운 세계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대학, 정부, 기업, 언론, 교수, 학생, 학부모 등이 각각 ‘위기를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이 책의 많은 부분은 저자가 세 차례에 걸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정책 자문 보고서로 제출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면서 3년간의 변화를 반영하여 보완·수정한 내용이다. 저자가 2017년 10월, 11월, 12월 3 차례에 걸쳐 KISTEP에 제출한 월례 정책자문보고서에 바탕을 두고, 저자가 그 뒤 수정, 보완한 내용이다. 당시 제출한 각각의 보고서 제목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제언(1)(10. 12)>,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과 다중지능의 활용과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제언> 2차 중간보고서(11. 12), 및 <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대학의 혁신 방향: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제언(3)>(12. 12)이다.
그 연구를 위해 지원해준 KISTEP과 임기철 원장님, 그리고 대학교육개혁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함께 논의한 수많은 동료 대학총장님들과 논의의 장을 만드신 한국대학신문 이인원 회장님과 홍남석 대표님께도 이 자리를 빌려 감사를 표한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저자가 책임질 일이다. 팬데믹이라는 혼돈의 시대를 맞아 이 책이 대학과 정부를 운영하거나 교육정책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2020년 5월 SMIT 연구실에서 김 석 준
4차 산업혁명은 전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모든 질서를 바꾸고 있다. 한국은 1~2차 산업혁명에서는 뒤쳐졌지만 3~4차 산업혁명에서는 세계차원에서 앞서가면서 선진국으로 도약하고 있다.
여기에 2019년 이후 중국 우한코로나(COVID-19)가 아시아지역을 거쳐 전 세계로 확산되고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으로 전개되면서 전 인류는 격어보지 못한 새로운 세상을 맞고 있다. 전 세계는 팬데믹 이전과 이후에 모든 것이 달라질 정도로 근본적인 질서의 변혁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면서 온라인 교육이 대면 교육을 전면적으로 대체하다가 부분적으로 대면 교육이 소규모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대학교육 자체도 근본적인 혁신을 요구받게 되었다.
이에 이 책은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 팬데믹, 그리고 대학교육 혁신의 내용에 대해 논의하여, 대학교육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키우고 한국을 새로운 세계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대학, 정부, 기업, 언론, 교수, 학생, 학부모 등이 각각 ‘위기를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이 책의 많은 부분은 저자가 세 차례에 걸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정책 자문 보고서로 제출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면서 3년간의 변화를 반영하여 보완·수정한 내용이다. 저자가 2017년 10월, 11월, 12월 3 차례에 걸쳐 KISTEP에 제출한 월례 정책자문보고서에 바탕을 두고, 저자가 그 뒤 수정, 보완한 내용이다. 당시 제출한 각각의 보고서 제목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제언(1)(10. 12)>,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과 다중지능의 활용과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제언> 2차 중간보고서(11. 12), 및 <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대학의 혁신 방향: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제언(3)>(12. 12)이다.
그 연구를 위해 지원해준 KISTEP과 임기철 원장님, 그리고 대학교육개혁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함께 논의한 수많은 동료 대학총장님들과 논의의 장을 만드신 한국대학신문 이인원 회장님과 홍남석 대표님께도 이 자리를 빌려 감사를 표한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저자가 책임질 일이다. 팬데믹이라는 혼돈의 시대를 맞아 이 책이 대학과 정부를 운영하거나 교육정책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2020년 5월 SMIT 연구실에서 김 석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