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5
문화창업마케팅 소개 6
장별 인트로 7
1장 문화창업마케팅 개요 10
2장 메가트렌드와 문화 17
3장 100세 문화 46
4장 마케팅 원리 66
5장 문화콘텐츠 개발 89
6장 퍼스널 브랜드 115
7장 창업로드맵 132
9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162
10장 사업계획서 작성 183
11장 지식제조업 227
12장 문화창업마케팅 역량I 266
(아이디어 발상 기법/생각정리의 기술)
13장 문화창업마케팅 역량II 293
(표현 기술/오픈이노베이션)
14장 문화창업마케팅 역량III 314
(SNS미디어 활용법/NPD프로세스/창업대학원)
작가의 말 347
문화창업마케팅 소개 6
장별 인트로 7
1장 문화창업마케팅 개요 10
2장 메가트렌드와 문화 17
3장 100세 문화 46
4장 마케팅 원리 66
5장 문화콘텐츠 개발 89
6장 퍼스널 브랜드 115
7장 창업로드맵 132
9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162
10장 사업계획서 작성 183
11장 지식제조업 227
12장 문화창업마케팅 역량I 266
(아이디어 발상 기법/생각정리의 기술)
13장 문화창업마케팅 역량II 293
(표현 기술/오픈이노베이션)
14장 문화창업마케팅 역량III 314
(SNS미디어 활용법/NPD프로세스/창업대학원)
작가의 말 347
도서 정보
10년간 여러 번의 시도 끝에 나온 단독저서
지금 돌아보니 10년의 숙성기간을 거친 듯!!!
문화를 새롭게 정의하다.!!!
문화는 창업마케팅의 목적이자 수단
음악, 미술, 만화 등 8대 문화예술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체계 및 비즈니스 모델 제시
코로나 사태로 앞당겨진 노마드 언택 시대
인공지능(AI)와 경쟁할 것인가?
인공지능(AI)를 활용하여 프로세스적이고 반복적인 정신노동은 AI에 맡기고 여유있고 창조적인 삶을 살 것인가?
포노사피엔스 신인류의 탄생
인플루언스를 추종하는 팬덤
소통과 공감을 통한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지식제조의 시대
자신의 퍼스널브랜드 창업을 통한 노후 준비와 린스타업을 통한 리스크 최소화 창업로드맵 제시
연령에 따른 100세 시대를 맞이한 새로운 직업창출을 통한 경제성장엔진 가치창출에 대한
철학과 명쾌한 로드맵 제시
문화는 생각습관과 행동양식!!!
-메가트렌드의 고객문화를 통한 고객가치 발견 및 제안부터
-회사문화 형성을 통한 핵심경쟁력 확보와
-새로운 문화를 제시하는 혁신제품·서비스 개발방법론까지
인문사회 영역부터 기술트랜드와 제픔 서비스 기획 개발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넘나들며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문화를 제시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문화를 만들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다.
머리말
문화창업마케팅은 ‘문화' + '창업' + '마케팅’의 결합이다.
문화는 창업마케팅의 목적이자 수단이다.
문화는 고객발굴 시작단계부터 고객가치제안까지, 회사문화와 회사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친다.
창업마케팅은 새로운 문화를 가진 혁신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제안한다.
2000년 인터넷의 출현, 2010년 애플사의 아이폰(iPhone), 2020년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Model 3)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서비스는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사고방식과 생활 양식의 문화를 창조해왔다.
2000년 태생의 밀레니얼 세대는 TV대신 스마트폰의 유튜브를 보며 자란 세대이다. 기존의 공중파 대중미디어에 익숙한 베이비부머 세대나 에코부머 세대와는 전혀 다른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을 가진 포노사피엔스라는 스마트폰 신인류가 탄생하였다.
그러므로, 문화는 창업마케팅의 목적이자 목표이며, 혁신의 수단이다.
이 책은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문화를 제시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문화를 만들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다.
문화창업마케팅 소개
문화창업마케팅은 문화를 중심으로 문화가 창업 및 마케팅에 미치는 원리를 이해하고, 창업의 원리와 마케팅 이론 학습을 통하여 문화를 선도하는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기업가정신 배양을 목표로 한다.
문화창업마케팅은
문화를 새롭게 정의며,
창업 로드맵을 제시하고,
마케팅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문화를 새롭게 정의
문화는 생각의 습관이며 습관의 결과물이다.
문화는 시장을 만들고, 아이템을 제시하며, 솔루션을 제시한다.
창업 로드맵을 제시
문화콘텐츠 개발 방법론을 학습하고, 불확실한 미래를 준비하도록 인생로드맵을 제시한다.
마케팅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문화 관점에서 마케팅을 쉽게 이해하고, 매출로 연결되도록 통찰력을 제공한다.
장별 인트로
1장 ~ 3장
문화에 대하여 알아보고,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메가트렌드에 대해 설명한다. 메가트렌드는 트렌드를 지배하는 거대한 흐름이다. 메가트렌드를 아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인생로드맵과 창업로드맵 준비를 위한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1장 문화를 정의하고, 문화와 욕구의 관계를 알아보며, 문화의 적용 범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2장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3대 메가트렌드 중 4차산업혁명과 블록체인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진다.
3장 100세 시대로 인해 파생되는 다양한 문화트렌드에 대하여 알아본다.
메가트렌드는 다양한 사회문화 현상을 일으키는 원천이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면 파생되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관점을 갖게 된다.
4차산업혁명의 본질을 이해하고, 블록체인 기술의 원리 알면, 어떤 분야의 사업 아이템에서 수익을 올릴지 판단하게 되며, 100세 시대 인구통계학적 접근은 인구분포 변화에 따른 시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진다.
4장 ~ 6장
기존의 마케팅 원리와 SNS에 맞는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에 관해 알아본다. 문화에 대한 안목을 가지고 창업과 마케팅의 원리에 대하여 본질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창업과 마케팅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도록 한다.
4장 마케팅의 기초를 다지고 마케팅 원리에 대하여 핵심 이론을 알기 쉽게 도식화하여 마케팅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도록 한다.
5장 마케팅의 대상이 되는 문화콘텐츠 개발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6장 신문화를 제시하는 콘텐츠의 원리와 콘텐츠를 만드는 에디톨로지의 원리와 창의력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7장 ~ 11장
문화로 창업하는 문화창업로드맵을 제시한다.
7장 창업에 따른 실패위험을 최소화하고, 무리하지 않는 창업 준비 방법을 제시한다.
9장 문화로 창업하는 아이템 발굴 및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 모델의 도출을 위하여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사업타당성 분석에 대한 방법론을 자세히 설명한다.
10장 도출된 비즈니스모델을 구체화 시키는 사업계획서 작성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1장 문화창업마케팅의 성공 요인으로 창의소통의 필요성과 이론을 설명하며, 유튜브와 MCN의 특징 및 사업특징에 대하여 알아본다. 창업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법, 사업화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발굴에 대한 안목, 사업계획서 작성법, 유튜브를 활용한 마케팅에 대하여 살펴본다.
12장 ~ 14장
문화창업마케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 방법론에 대하여 설명한다.
생각 정리 프레임, 아이디어 발상법, 아이디어를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소통·공감 기반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성공적인 디지털미디어 활용 방안, 기술사업화 과정 및 창업자를 위한 최적화된 창업대학원에 대하여 실제 경험한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금 돌아보니 10년의 숙성기간을 거친 듯!!!
문화를 새롭게 정의하다.!!!
문화는 창업마케팅의 목적이자 수단
음악, 미술, 만화 등 8대 문화예술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체계 및 비즈니스 모델 제시
코로나 사태로 앞당겨진 노마드 언택 시대
인공지능(AI)와 경쟁할 것인가?
인공지능(AI)를 활용하여 프로세스적이고 반복적인 정신노동은 AI에 맡기고 여유있고 창조적인 삶을 살 것인가?
포노사피엔스 신인류의 탄생
인플루언스를 추종하는 팬덤
소통과 공감을 통한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지식제조의 시대
자신의 퍼스널브랜드 창업을 통한 노후 준비와 린스타업을 통한 리스크 최소화 창업로드맵 제시
연령에 따른 100세 시대를 맞이한 새로운 직업창출을 통한 경제성장엔진 가치창출에 대한
철학과 명쾌한 로드맵 제시
문화는 생각습관과 행동양식!!!
-메가트렌드의 고객문화를 통한 고객가치 발견 및 제안부터
-회사문화 형성을 통한 핵심경쟁력 확보와
-새로운 문화를 제시하는 혁신제품·서비스 개발방법론까지
인문사회 영역부터 기술트랜드와 제픔 서비스 기획 개발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넘나들며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문화를 제시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문화를 만들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다.
머리말
문화창업마케팅은 ‘문화' + '창업' + '마케팅’의 결합이다.
문화는 창업마케팅의 목적이자 수단이다.
문화는 고객발굴 시작단계부터 고객가치제안까지, 회사문화와 회사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친다.
창업마케팅은 새로운 문화를 가진 혁신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제안한다.
2000년 인터넷의 출현, 2010년 애플사의 아이폰(iPhone), 2020년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Model 3)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서비스는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사고방식과 생활 양식의 문화를 창조해왔다.
2000년 태생의 밀레니얼 세대는 TV대신 스마트폰의 유튜브를 보며 자란 세대이다. 기존의 공중파 대중미디어에 익숙한 베이비부머 세대나 에코부머 세대와는 전혀 다른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을 가진 포노사피엔스라는 스마트폰 신인류가 탄생하였다.
그러므로, 문화는 창업마케팅의 목적이자 목표이며, 혁신의 수단이다.
이 책은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문화를 제시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문화를 만들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다.
문화창업마케팅 소개
문화창업마케팅은 문화를 중심으로 문화가 창업 및 마케팅에 미치는 원리를 이해하고, 창업의 원리와 마케팅 이론 학습을 통하여 문화를 선도하는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기업가정신 배양을 목표로 한다.
문화창업마케팅은
문화를 새롭게 정의며,
창업 로드맵을 제시하고,
마케팅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문화를 새롭게 정의
문화는 생각의 습관이며 습관의 결과물이다.
문화는 시장을 만들고, 아이템을 제시하며, 솔루션을 제시한다.
창업 로드맵을 제시
문화콘텐츠 개발 방법론을 학습하고, 불확실한 미래를 준비하도록 인생로드맵을 제시한다.
마케팅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문화 관점에서 마케팅을 쉽게 이해하고, 매출로 연결되도록 통찰력을 제공한다.
장별 인트로
1장 ~ 3장
문화에 대하여 알아보고,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메가트렌드에 대해 설명한다. 메가트렌드는 트렌드를 지배하는 거대한 흐름이다. 메가트렌드를 아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인생로드맵과 창업로드맵 준비를 위한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1장 문화를 정의하고, 문화와 욕구의 관계를 알아보며, 문화의 적용 범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2장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3대 메가트렌드 중 4차산업혁명과 블록체인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진다.
3장 100세 시대로 인해 파생되는 다양한 문화트렌드에 대하여 알아본다.
메가트렌드는 다양한 사회문화 현상을 일으키는 원천이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면 파생되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관점을 갖게 된다.
4차산업혁명의 본질을 이해하고, 블록체인 기술의 원리 알면, 어떤 분야의 사업 아이템에서 수익을 올릴지 판단하게 되며, 100세 시대 인구통계학적 접근은 인구분포 변화에 따른 시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진다.
4장 ~ 6장
기존의 마케팅 원리와 SNS에 맞는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에 관해 알아본다. 문화에 대한 안목을 가지고 창업과 마케팅의 원리에 대하여 본질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창업과 마케팅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도록 한다.
4장 마케팅의 기초를 다지고 마케팅 원리에 대하여 핵심 이론을 알기 쉽게 도식화하여 마케팅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도록 한다.
5장 마케팅의 대상이 되는 문화콘텐츠 개발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6장 신문화를 제시하는 콘텐츠의 원리와 콘텐츠를 만드는 에디톨로지의 원리와 창의력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7장 ~ 11장
문화로 창업하는 문화창업로드맵을 제시한다.
7장 창업에 따른 실패위험을 최소화하고, 무리하지 않는 창업 준비 방법을 제시한다.
9장 문화로 창업하는 아이템 발굴 및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 모델의 도출을 위하여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사업타당성 분석에 대한 방법론을 자세히 설명한다.
10장 도출된 비즈니스모델을 구체화 시키는 사업계획서 작성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1장 문화창업마케팅의 성공 요인으로 창의소통의 필요성과 이론을 설명하며, 유튜브와 MCN의 특징 및 사업특징에 대하여 알아본다. 창업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법, 사업화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발굴에 대한 안목, 사업계획서 작성법, 유튜브를 활용한 마케팅에 대하여 살펴본다.
12장 ~ 14장
문화창업마케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 방법론에 대하여 설명한다.
생각 정리 프레임, 아이디어 발상법, 아이디어를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소통·공감 기반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성공적인 디지털미디어 활용 방안, 기술사업화 과정 및 창업자를 위한 최적화된 창업대학원에 대하여 실제 경험한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