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4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용어의 정의 14
3. 연구의 제한점 16
Ⅱ. 이론적 배경 17
1. 선행연구로 살펴 본 ‘느린 학습자’ 17
2. 경계선 지적지능 학생들의 정체성 20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연구 절차 31
Ⅳ. 느린 학습자를 위한 교과지도 사례 32
1. 학생1의 효과적인 학습전략 지도 프로그램 적용 32
2. 학생2의 효과적인 학습전략 지도 프로그램 적용 41
Ⅴ. 문제의식 47
1. 아이의 가정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학력 47
2.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과 기본학력이 부족한 학생 50
3. “표시나게” 수업시간에 그 자리에 없는 것 51
4. 특수교육의 영역에 들어오는 경계선 지적지능 학생 53
Ⅵ. 결론 및 제언 56
1. 결론 56
2. 제언 57
참고문헌 61
부록 62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용어의 정의 14
3. 연구의 제한점 16
Ⅱ. 이론적 배경 17
1. 선행연구로 살펴 본 ‘느린 학습자’ 17
2. 경계선 지적지능 학생들의 정체성 20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연구 절차 31
Ⅳ. 느린 학습자를 위한 교과지도 사례 32
1. 학생1의 효과적인 학습전략 지도 프로그램 적용 32
2. 학생2의 효과적인 학습전략 지도 프로그램 적용 41
Ⅴ. 문제의식 47
1. 아이의 가정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학력 47
2.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과 기본학력이 부족한 학생 50
3. “표시나게” 수업시간에 그 자리에 없는 것 51
4. 특수교육의 영역에 들어오는 경계선 지적지능 학생 53
Ⅵ. 결론 및 제언 56
1. 결론 56
2. 제언 57
참고문헌 61
부록 62
도서 정보
학교에는 대다수 아이들을 주류라고 하고 그것을 보통이라고 한다. 주류가 아닌 아이들은 소수이고 학교 현장에서 우리 기독교사들은 이들의 어려움을 보면서 연구하고 돌보고 대안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다행히 학력 격차의 원인이 소수의 아이들의 전적인 책임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모든 아이에게 맞는 교육과정이 되기에 부족하였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고민은 결국 소수의 아이들에 대한 존중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존중의 실체는 ‘특별한’, 특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오히려 일반적인 것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수학수업의 본질을 더 생각해 보면 일찌감치 수학을 포기하는 아이들을 보지 않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즉, 경계선 아이들을 위한 수학수업 프로그램을 연구하다 보니 “이 방법이 오히려 수학교과의 본질에 대한 접근인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글의 경계선 학생들을 위한 방법들은 오히려 보편적인 아이들에게 수학교과의 즐거움을 획득하고 수학교과의 배움을 촉진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 글의 경계선 학생들을 위한 방법들은 오히려 보편적인 아이들에게 수학교과의 즐거움을 획득하고 수학교과의 배움을 촉진하는 방법일 수 있다.